김진규 인천시의회 제1부의장. 인천시의회 제공
이르면 내년부터 인천지역 중·고교 신입생은 ‘단일 인천브랜드’ 무상교복을 입게 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김진규 인천시의회 제1부의장은 인천 중·고교 신입생에게 교복 구매비를 지원하는 ‘무상교복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중·고교 신입생 무상교복 지원은 박남춘 인천시장과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의 공약사업이기도 하다.
이 조례는 무상교복 지원 대상과 지원방법 등을 담고 있다. 특히 무상교복 지원 때 ‘단일 인천브랜드 사용’이 눈에 띄는 대목이다. 지금까지는 교복 브랜드와 가격 등이 달라 학생들의 소비경쟁 등으로 브랜드에 따른 빈부격차와 위화감이 생긴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는데, 인천시는 단일 브랜드를 개발해 이런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방식은 학교별 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회에서 교복 공급 업체를 선정하되, 단일한 인천브랜드를 교복에 부착하는 것이다.
김 부의장은 “무상교복은 학부모의 부담을 덜어주고, 보편적 교육복지를 실현하려는 게 목표”라며 “유명 브랜드 교복을 입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학생 간 위화감이 조성되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단일 브랜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 주최로 21일 오후 2시 인천시교육청 제2소회의실에서 시, 시교육청, 교복구매지원위원회, 학부모대표 등 관계자와 간담회를 열어 무상교복 단일 브랜드 사용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무상교복비 지원을 현금 또는 현물로 지원해 주는 등 지원방법도 함께 논의한다.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부터 중·고교 신입생 무상교복 지원사업이 시행되면, 5만800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예산은 157억원 규모다. 2022년까지 모두 64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내년부터 무상교복을 지원하려면, 연내 조례 제정은 물론 인천시를 포함한 10개 군·구와 재원 분담률 협의를 마쳐야 하고, 보건복지부 사회보장협의회 승인도 받아야 한다.
한편, 경기도의회 민경선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현물지원 방식의 학교 교복 지원 조례안을 대표발의 했으나 교복 공급업체와 일부 학부모단체에서 현금 지급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도의회는 무상교복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28일까지 설면조사를 거쳐 확정하기로 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