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 삼산동 영선초등학교 주변에 특고압선 증설 반대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인천시가 학교와 주택 밀집지역 지하를 관통하는 특고압 송전선로 갈등(<한겨레>∨7월13일치∨13면)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조사단을 꾸리기로 했다.
시는 한국전력, 부평구, 삼산동 특고압 설치반대 주민대책위원회와 특고압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조사단 구성에 합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조사단은 주민대책위와 한국전력에서 각 2명씩 추천해 4명으로 꾸려져 기존 지하에 매설된 15만4천V 송전선로에 의한 전자파를 측정한다. 또 증설 예정인 34만5천V 송전선로가 추가될 경우 예측되는 전자파 영향 시뮬레이션 시험에도 참여해 객관적인 예측치를 검증한다.
시는 삼산동 특고압 송전선로 설치공사 민원이 불거진 뒤 주민대책위와 한전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한 전자파 측정값을 놓고 갈등이 빚어지자 조사단 구성을 제안했다.
앞서 주민대책위가 현재 15만4천 볼트 고압선이 지나가는 삼산동 아파트와 학교 7곳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11∼110mG(밀리가우스·전자파 세기 단위)의 전자파가 측정됐다. 반면, 한전이 지난 6월 부천과 삼산동에서 측정한 전자파는 1.6∼40mG로, 대책위의 측정값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 관계자는 “양쪽의 불신을 없애고자 전문가조사단을 구성했다. 조사단이 전자파 측정 및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전은 수도권 서부지역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내년 말까지 인천 서구 인천화력발전소에서 서울 구로구까지 23㎞ 구간에 34만5천 볼트의 특고압 전력 케이블을 묻는 공사를 진행 중이다. 다른 구간은 고압선이 지나가는 터널(전력구)을 지하 30∼50m 깊이에 뚫지만, 부평구 삼산동부터 부천 상동까지 2.5㎞ 구간은 지하 8m 깊이에 있는 기존 15만4천V 전력구를 활용하면서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글·사진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