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남북 공동한강하구수로 조사가 시작된 가운데 강화 교동도 북단 한강하구에서 윤창휘 공동조사단장과 북쪽조사단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군 당국 및 해운 당국 관계자, 수로 조사 전문가 등이 참여한 공동조사단은 남북 각각 10명으로 구성됐다. 사진공동취재단
남·북이 5일부터 한강과 임진강 하구 공동이용을 위한 남북 공동조사에 들어갔다. 한강하구 공동이용 수역에서 남북 공동수로 조사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최초로 시행되는 조처다.
해양수산부와 국방부는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한강하구 공동이용 수역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 조사를 5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공동이용 수역은 남쪽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으로부터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쪽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 70㎞ 구간이다.
군 당국 및 해운 당국 관계자, 수로 조사 전문가 등이 참여한 공동조사단은 남북 각각 10명으로 꾸려졌다. 이번 조사에는 남한 쪽 조사선박 6척이 투입된다. 공동조사단은 선박에 탑재된 음향장비를 이용해 물속 해저 바닥까지 깊이를 측정,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조사하게 된다. 올해 말까지 전체 해역을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사한다.
이번 조사가 완료되면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항행정보(해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한강과 임진강하구는 골재채취, 관광·휴양, 생태보전 등 다목적 사업의 병행 추진이 가능한 수역으로 평가됨에 따라 공동이용에 따른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앞서 남북은 2007년 10월 평양 정상회담 때도 한강하구 공동이용에 합의하고 골재채취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이후 남북관계 경색으로 흐지부지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에 따라 남북한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허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민감수역’으로 관리돼 민간선박의 자유항행 자체가 제한됨에 따라 수로측량 등 기초조사와 해도 제작 등 항행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남북관계가 경색됐던 과거 정권 때부터 한강하구 생태·물길 조사, 민간선박 자유항행 등을 꾸준히 추진해온 경기도 김포시는 한강하구 공동조사를 계기로 남북 교류협력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접경지역 시장·군수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정하영 김포시장은 “강원도 고성에서 김포, 강화로 이어지는 휴전선 일대 시·군들이 북한의 인접 시·군들과 민간차원의 교류를 할 수 있는 영역을 찾겠다. 우선 한강 남북에 ‘조강리’ 포구를 공유하고 있는 북한 개풍군과 김포시가 자매결연을 맺고 청소년 수학여행과 농산물 종자 교환·재배, 말라리아 공동방역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박경만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