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10개 행정복지동센터, 26개 일반 동 체제에서 10개 광역동으로 전환을 추진 하고 있다. 광역동 모형. 부천시 제공
재작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일반 구(區)를 없앤 경기도 부천시가 이번엔 36개 동을 10개 광역동 체제로 개편을 추진한다. 중복되는 동의 업무를 줄여 인력을 현장 중심으로 배치하고, 동의 기능을 확대해 인허가 등 생활민원을 원스톱으로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6일 부천시의 설명을 들어보면, 내년 7월 시행을 목표로 현재의 행정복지센터 10곳, 일반 동 26곳 등 36개 동 체제에서 10개 광역동으로 전환한다. 10개 광역동은 관할 구역이 일치하는 행정복지센터 10곳을 기준으로 나눴다. 이는 기초의회 의원 선거구와도 일치한다. 광역동 청사는 행정복지센터를 활용하되, 공간이 협소한 중4동, 상2동, 소사본동, 심곡본동 등 4곳은 이전을 검토 중이다.
폐지 예정인 26개 동은 현재 10~15명 안팎의 인력을 줄여 제증명 발급 및 단순 복지상담 등을 위한 5명 이내로 구성된 ‘현장민원실’로 운영한다. 현재 일반 동에 소속된 80여명의 인력을 광역동으로 재배치한다. 현행 일반 동은 민원발급 및 간단한 복지 사무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사무가 없는 실정이며, 인터넷 발급 비율이 높아지면서 역할이 점차 축소되는 추세다. 광역동으로 전환되면 청사 유지 등 재산관리 비용도 연간 37%(5억4천만원)가량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폐지 동의 청사 유휴 공간은 주민 문화 복지 및 주민자치를 위한 공간으로 제공한다. 시는 내년 1월 중 광역동 체제로 개편을 위한 조례를 개정하고, 7월까지 청사 재배치 등을 모두 마무리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복지센터와 일반 동의 역할과 기능이 다른데도 같은 동으로 인식해 시민에게 혼선을 주고 있고, 회계·서무 등의 업무가 중복돼 행정 인력 및 비용 투입이 불합리해 광역동 체계로 전환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온라인을 통한 증명 서류 발급 비율이 높아진 점도 반영됐다.
앞서 시는 2016년 7월 정부의 대동제 취지에 발맞춰 원미·소사·오정 등 3개 일반 구를 폐지, 기존 시-구-동 3단계의 행정체계를 시-동 2단계로 재편했다. 인구 50만명 이상 기초지자체에서 행정업무를 분담하기 위해 설치한 일반 구를 폐지한 것은 부천이 전국에서 처음이었다. 폐지한 옛 구청사는 노인복지관이나 도서관, 건강지원센터 등으로 쓰이고 있다.
시가 일반 구 폐지 성과를 분석한 결과, 구청 운영비 연간 40억원을 절감했다. 또 시-구 중복사무 345건(35.5%)를 정비하는 한편, 현장인력을 2배가량 늘려 신속한 민원처리가 가능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