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가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과 부두 용지를 통째로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옹진군이 반발하고 나섰다. 100개의 섬으로 이뤄진 옹진군은 연간 100만명이 이용하는 연안여객선터미널을 지금의 제1국제여객터미널 자리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 중구에 있는 제1국제여객터미널과 주변 부두 등 항만 용지 5만3천㎡를 내년 상반기 중 매각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연안터미널과 제1터미널, 제2터미널은 모두 인천 중구에 있는데, 이 가운데 제1, 2터미널은 내년 말 터미널에서 직선거리로 3.4㎞ 떨어진 곳에 조성될 신국제여객터미널로 통합·이전한다.
이에 따라 항만공사는 유휴공간으로 남게 될 제1터미널 터에 어시장을 포함한 해양특화상가, 휴양·숙박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용도를 지정해 매각할 방침이다. 공사는 터미널 이전 뒤 상권 공동화를 막기 위해 2015년 6월부터 인천시와 관할 구청인 중구청, 주변 상인 등이 참여하는 민·관·공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했다. 해당 용지의 추정 감정가는 1100억원으로, 현재 정식 감정을 진행 중이다.
항만공사의 이런 매각 방침에 옹진군은 반대하고 나섰다. 인구 2만2천명의 옹진군은 100개의 섬으로 이뤄진 지역적 특성 탓에 해상교통 이용하지 않으면 접근이 어려운 곳이다. 군 청사가 행정구역 밖인 인천항과 가까운 미추홀구에 있다. 행정관청 소재지가 관할 행정구역 밖에 있는 유일한 기초자치단체다. 어업과 해양관광이 주요 경제산업으로, 여객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특히, 옹진군은 민·관·공 태스크포스에도 빠져 있다. 장정민 옹진군수는 이날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매각 결정은) 연간 100만명이 이용하는 인천 연안항 및 천혜의 경관을 지닌 168개 인천의 섬에 대한 발전 잠재력을 무시한 처사”라며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해 연안여객터미널을 제1터미널로 이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안터미널은 제1터미널에서 불과 100m 남짓 떨어져 있다.
장정민 옹진군수가 20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 말 이전 예정인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연연여객터미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건의했다.
1995년 준공한 지상 3층(연면적 5482㎡) 규모의 연안터미널은 시설이 오래되고 공간이 협소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이용자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해무 등 기상 악화로 연간 100회 이상 운항이 지연되거나 통제되는데, 이럴 때면 대기 장소가 부족해 이용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장 군수는 “여객선의 대형화와 선박 수의 증가에 따른 선박사고 위험도 커지고 있다”며 “현재 연안터미널은 배가 정박할 수 있는 선석이 포화상태인 데다 대형선박 이용이 어려워 해양관광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인천시와 항만공사가 뜻을 함께해 주질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항만공사는 연안터미널 이전에 회의적인 반응이다. 공사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이미 제1터미널 이전 계획이 수립돼 의견 수렴을 거쳐 매각이 결정됐다”며 “제1터미널은 대형 유람선 등을 위한 시설로 연안터미널에 적합한 시설이 아니다”고 말했다.
글·사진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