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내년부터 1만t 규모 수매
2022년까지 자급률 10% 높일 계획
군과 학교, 가공업체에 값싸게 공급
2022년까지 자급률 10% 높일 계획
군과 학교, 가공업체에 값싸게 공급
밀 수입 자유화에 따라 폐지됐던 밀 수매(비축) 제도가 35년 만에 부활한다. 이것은 사실상 그동안 국내 생산을 포기했던 밀 농업을 되살리겠다는 뜻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2017년 말 기준 밀 자급률 1.7%에서 2022년까지 9.9%로 높이는 것을 핵심으로 한 ‘밀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을 발표했다. 밀은 지난해 1인 연간 소비량이 32.4㎏에 이르는 ‘제2의 주식’이 됐지만(쌀은 61.8㎏), 자급률은 1.7%에 불과해 식량 안보 차원에서 자급 기반을 갖출 수 있도록 중장기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3만7천t(톤)이었던 밀 생산량을 2022년 21만t으로 늘리고, 자급률 역시 9.9%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밀 수입 자유화에 따라 1984년 폐지된 밀 수매(비축) 제도가 내년부터 부활한다. 내년에는 100억원을 투입해 1만t 규모를 사들인다. 이는 지난해 밀 생산량의 2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다만, 1984년 이전의 밀 수매비축제와 달리 단백질 함량, 품종 순도 등 품질 등급제를 적용해 가격을 차등 적용해 매입한다.
수매한 밀은 군이나, 학교 급식, 밀 가공업체 등에 가격을 낮춰 공급해 국산밀 수요를 넓혀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달부터 서울·경기지역 104개 학교의 급식에 시범 시행한 ‘밀쌀’ 공급을 내년부터 다른 지방정부로 확대한다. 밀쌀은 통밀의 겉겨를 깎아낸(도정한) 밀을 말한다. 이들 학교에선 밀쌀 10~20%를 쌀 80~90%와 섞어 잡곡밥 형태로 학생들에게 제공했다.
또 2022년까지 22억5천만원을 들여 민간 주도의 ‘국산 밀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사업에선 빵과 중국식 면 등에 적합한 국내산 경질 밀 자원을 5개 이상 개발할 예정이다. 일정한 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개발하는 밀 종자의 공급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생산자 단체를 통해서도 공급을 늘려나간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밀산업육성법’도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