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중교통이 열악한 농어촌에 ‘100원 택시’ 외에도 ‘소형버스’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한다. 올해 7월 노선버스 주 52시간 적용에 따라 노선 감축이 예상되는 농어촌 지역의 버스 노선 폐지를 막기 위한 것이다.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이런 ‘도시형·농촌형 교통모델 사업’에 예산 552억원을 투입한다고 21일 밝혔다. 그동안 100원 택시 중심 사업에서 버스 분야로 확대한 것이 핵심이다.
100원 택시는 대중교통이 열악한 벽지에서 노선버스 등을 대체하는 콜택시를 지원해주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100원을 내면 읍·면·동 소재지까지 태워주고, 나머지 요금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국토부가 78개 시 지역을, 농식품부가 82개 군 지역을 맡아 지자체와 협의해 필요한 곳에 차량 구매비와 운영비를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택시는 5천만원, 버스는 3억원 수준이다.
전체 예산 552억원 가운데 480억원이 소형버스 사업에 투입된다. 이는 농어촌 버스 노선 폐지를 막기 위한 조처다. 7월부터 노선버스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버스 사업자들이 낮은 수익성을 이유로 노선을 폐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버스 운임은 지금처럼 600~1000원 수준이 될 전망이다.
한편, 국토부와 농식품부는 22일 케이티(KT)대전인재개발원에서 전국 지자체 담당자 등 2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 사업과 관련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