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관에 갇힌 해양생물의 복지시대가 열린다. 정부가 처음으로 수족관 해양생물의 복지 증진을 위한 ‘수족관 관리 종합계획’ 수립에 나선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안전한 수족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제1차 수족관 관리 종합계획(2020~2024년) 수립에 들어갔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수족관의 적정한 관리를 위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한 데 따른 것으로, 이번에 처음으로 수립되는 것이다.
그동안 수족관 시설 기준과 전문인력 확보 등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등록하면 수족관 운영이 가능했다. 하지만 먹이와 질병 관리 등 해양생물의 적절한 서식환경에 대한 기준이 없어, 좁은 공간에 갇힌 해양생물이 이상행동을 보이거나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났다. 또 체험형 수족관이 인기를 끌면서 인수 전염병 전파 등의 안전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해수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종합계획에 수족관 해양생물의 적절한 서식환경 확보 등 복지 확대 및 공중의 안전·보건 확보 방안을 담는다. 또 수족관이 해양생물을 단순히 전시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해양생물의 보전을 위한 종복원·증식 등 공익적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전문인력 양성·지원 방안 △수족관 관리·감독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연구·교육·홍보사업에 대한 시책과제 및 시행계획 등도 검토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용역 결과가 나오면 전문가, 수족관 업계, 시민단체가 포함된 자문단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올해 말까지 종합계획 수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명노헌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이번 제1차 수족관 관리 종합계획은 수족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최초로 수립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