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의 유전정보, 외형 등 표현형 정보, 기능성 물질 함량 등의 정보가 담긴 ‘종자신분증’. 농촌진흥청 제공
주민등록증처럼 농작물의 품종과 유전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종자신분증’ 시대가 열린다.
농촌진흥청은 우리 농작물의 품종과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유전정보와 외형 특성 등을 표준화한 ‘종자신분증’ 모델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종자신분증은 품종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유전자 정보(유전형)와 외형 특징 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인식 프로그램이다.
주민등록증처럼 품종명과 식물체의 꽃이나 종자 사진 등 표현형 정보가 담기며, 유전정보는 블록방식의 바코드로 인식할 수 있다. 기능성물질 함량과 큐아르(QR)코드로 품종 및 재배 이력 정보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품종 인식 프로그램은 콩 147종과 메밀 국내외 90종이다. 콩과 메밀의 주요 품종과 유전자원의 종자 특성, 기능성분(이소플라본과 루틴)을 분석해 자료화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유전형, 표현형, 기능성분을 한 번에 검색할 수 있는 융합 플랫폼 프로그램 모델이다.
이 모델을 다른 식량 작물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농진청은 유전적으로 99.9% 유사한 품종의 유전자원도 판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종자 한 알에 대한 간단한 실험으로 유전정보 판별이 가능해져 수입 농산물 부정유통 단속에도 효과적이다. 실제 2017년 중국산 콩을 국내산으로 둔갑한 사건과 관련해, 농진청이 개발한 이 모델을 적용해 유전정보를 쉽게 판별했다.
이 표준 모델이 도입되면, 품종과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소비자는 농산물 가공제품의 ‘종자신분증’을 통해 종자 생산지, 가공업체 등 생산 이력을 알 수 있어 우리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본철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장은 “점차 종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종자신분증’ 기술 개발이 우리 품종과 유전자원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