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 어장 확대에 따른 첫 출어일인 4월1일 옹진군 연평면 대연평항에서 출어한 연평도 어민들이 확대 어장에서 조업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서해5도 어민들이 해상시위를 예고했다. 서해5도 어장이 서울 여의도 면적의 84배가량 늘어났지만, 확장 어장까지 거리가 멀어 사실상 조업을 할 수 없는 데다 조업구역 단속 강화로 조업에 피해만 보게 됐다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7일 서해5도어업인연합회 등에 따르면 백령·대청·소청도 등 어민들은 10일 오전 소청도 남쪽에 새로 생긴 디(D) 어장까지 이동하면서 해상시위를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백령도와 대?소청도 남단에 있는 디 어장은 4월1일부터 확장된 전체 245㎢(여의도 면적 84배) 어장의 63%(154.6㎢)를 차지하는 곳이다.
장태헌 서해5도어업인연합회 회장(백령도선주협회장)은 “새로 확장된 어장은 백령도나 대·소청도에서 배를 타고 왕복 4∼5시간 정도가 걸리고, 수심도 깊어 사실상 조업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어장 확장 뒤 오히려 조업구역을 벗어나는 어선에 대한 감시가 강화돼 피해만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평도는 백령·대청·소청지역과 사정이 조금 다르다. 연평도 남쪽 해상에 있는 연평어장은 비교적 섬과 가까운 곳으로 어장이 확장됐다. 연평어장은 동쪽 46.58㎢, 서쪽 43.73㎢가 늘어났다. 박원일 서해5도평화수역운동본부 사무국장은 “백령·대청·소청 어민들은 다소 불합리한 어장 확장에도 서해평화수역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참아왔는데, 어장 확장을 이유로 정부가 기존 어장에 대한 단속만 강화하자 반발하는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백령·대청·소청 어민들은 기존 어장 옆으로 어장을 확대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정부는 북한이 주장하는 해상 경계선 등을 고려해 무용지물인 디 어장을 신설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조업이 가능한 어장 확대로 이어지도록 정부가 개선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어민들은 시위를 예고한 10일 백령도 용기포 신항에 모여 궐기대회를 연 뒤 기존 한반도기에 서해5도를 그려 넣은 ‘서해5도 한반도기’를 달고 조업구역(어장) 경계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으로 항의의 뜻을 전달할 예정이다. 서해5도어업인연합회는 이번 해상시위에 참여하는 어선 수가 120여척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수부는 서해5도 ’어업 지도 강화’는 국방부가 어장 확장에 따른 안전과 질서 확립을 위해 조건부로 수용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수심도 기존 어장가 비슷하다고 해명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그동안 대청과 백령 등의 연안 지역은 지자체인 옹진군에서 어업 지도를 했는데,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어업 확장 뒤 국방부의 요청으로 국가 어업 지도선이 투입됐다”며 ”조업 구역 외 불법 어구 설치에 대해 계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청도 어민들은 애초 6일 인천해양수산청 등을 찾아 항의서한을 전달할 계획이었으나 강원도 산불 피해 등을 고려해 취소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