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언제까지 지사직을 유지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이 지사 쪽은 경선 기간은 물론 대선 후보로 뽑히더라도 가능한 지사직을 유지하는 쪽으로 무게를 두고 있다. 이 지사 쪽의 한 관계자는 1일 “이 지사는 17개 광역자치단체 단체장 시·도정 평가에서 거의 연속 1위를 차지했다”며 “경선 과정에서도 도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해 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대선 주자로서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최근 <한겨레>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도 “뭐 그리 급하다고 도정 안 챙기고 도망가듯 바로 뛰쳐나가겠느냐”며 “도민들이 열심히 일하는 (나의) 모습을 끝까지 지켜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 지사는 한 적어도 민주당 단일후보가 결정되는 9월까지는 경기도 지사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결선투표까지 갈 경우 9월10일 대선 후보를 확정한다.
그러나 지사직을 유지할 경우, 이 지사는 당장 대선 예비후보로는 등록할 수 없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2일(선거일 240일 전)부터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받는데 공직선거법상 현직 도지사는 예비후보로 등록할 수 없다. 예비후보로 등록하지 않으면 선거사무소를 열 수 없고 홍보 현수막 등도 걸 수가 없다. 홍보물 발송도 안 된다.
이 지사 쪽은 개의치 않는 분위기다. 이 지사의 한 측근은 “공직선거법상 예비후보 등록을 하지 않으면 홍보 차원에서의 불이익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높은 인지도로 큰 걱정은 안 하는 게 사실이다. 성남시장 때도 대권에 도전했으나, 시장직을 충실히 소화하며 정견 발표와 경선 토론회는 연차를 쓰거나 일과 외 시간을 쪼개 개인 일정으로 소화했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국회 토론회 등을 통해 자신의 정책을 설명하고 백브리핑 형식으로 기자들을 만나 중앙 정치 무대를 누벼왔다. 현직 도지사의 프리미엄을 최대한 활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지사가 대선 출마 선언을 한 이상 도정 공백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 경기도 공무원은 “이 지사는 강력한 추진력과 조직 장악을 통해 도정을 하는 스타일”이라며 “경선을 치르면서 도정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밀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실제 도정에서 핵심 구실을 해 온 정무 라인 측근들이 캠프로 합류하면서 조직이 다소 느슨해진 모습이다. 대선 후보의 공직사퇴 시한은 선거 90일 전인 12월9일이다.
한편, 이 지사는 2017년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며 2개월여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했다. 2018년 6·13 지방선거 때에는 공직 사퇴시한 하루 전날(3월 14일) 성남시장직을 사퇴하고 경기도지사에 도전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