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공원에서 전시목적으로 사육하는 토끼·꽃사슴·양 등 동물이 부실하게 관리되면서 폐사하거나 매각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은 14일 ‘인천지역 공원 내에서 전시목적으로 사육하는 동물 관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인천 지역에서는 공원 5곳에서 전시동물을 사육하고 있다. 남동구는 2014년 늘솔길공원에 양떼목장을 조성하며 면양 7마리를 사들였지만, 개체 수 조절을 하지 않아 올해 초 45마리까지 늘어났다. 양떼목장 규모와 사육 시설보다 개체수가 많아 관리가 되지 않자 올해 2월 20마리를 매각처분했다.
인천시 계양공원사업소에서 운영하는 서구 연희자연마당에서도 토끼 폐사가 반복되고 있다. 이 단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2010년 최초 4마리에서 2019년 94마리까지 증가했다. 이 과정에서 폐사가 반복되고 있다. 2019년에는 20마리가 죽었고 지난해 8마리에 이어 올해도 6마리가 폐사했다. 연희자연마당은 지난해 부평구 나비공원에 토끼 40마리를 옮겼다. 암·수를 구분해 관리하고 있지만, 영역다툼 과정에서 귀를 물어뜯기거나, 피부병이 있거나, 탈장이 된 토끼도 있었다고 이 단체는 설명했다.
인천시 월미공원사업소가 관리 중인 중구 월미공원에는 꽃사슴 3마리, 토끼 최소 39마리를 전시하고 있다. 꽃사슴은 2013년과 2014년 9마리를 반입했는데, 지난 7년 동안 번식과 폐사를 반복해 13마리가 죽었다. 남은 6마리 중 3마리는 올해 국립축산과학원에 연구목적으로 넘겨줬다.
인천시 산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인천시설공단에 위탁·운영하는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의 토끼섬과 꽃사슴동산은 동물 현황 자료조차 없었다. 인천경제청 등은 올해 초 동물보호단체를 통해 토끼섬의 열악한 관리실태가 알려지자 토끼 개체수 조절 등의 대책 수립에 들어갔다.
인천녹색연합은 “시대적 흐름에 어긋나는 유희 목적의 공원 내 동물 전시를 점차 중단해 나가야 한다”며 “현재 남아있는 동물의 생명권을 위해 거주환경 정비와 주기적인 수의 처치, 개체 수 관리방안 마련 등 동물복지 차원의 관리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사진 인천녹색연합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