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인천시청 대접견실에서 열린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간 공동협약식’에서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등 참석자들이 서명한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이강호 남동구청장, 고남석 연수구청장, 김정식 미추홀구청장, 박남춘 인천시장, 허인환 동구청장, 홍인성 중구청장.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28일 시청에서 중·동·미추홀·연수·남동구 등 남부권 5개 구청장과 자원순환센터(소각장)의 원활한 건립을 위한 ‘자원순환센터 마련을 위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공동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남부권을 중심으로 한 5개 구와 함께 2026년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친환경 자원순환센터’를 건립하는데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규 소각장을 건립할 최적의 장소를 찾고, 폐기물 처리 용량을 최대한 감축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설 소각장 입지는 법률적 절차인 입지선정위원회 구성과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거쳐 결정하기로 했다. 자원순환센터 입지선정위원회는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와 협의해 주민대표, 시 또는 구의원, 전문가, 공무원 등으로 구성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인천시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토대로 송도·청라 등 기존 소각장 3곳과 서부권역(중·미추홀구), 중부권역(동·남동구), 부평·계양(추후 협의), 강화군 등 4개 권역별로 하나씩 소각장 설치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발표 이후 해당 지역 주민과 기초자치단체에서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자 이번 협약을 통해 일부 계획을 수정했다.
신규 설치하려던 서부권·중부권역 광역소각장을 기존 연수구 송도센터와 연계해 1곳만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미추홀·연수·남동은 현행처럼 송소센터에서 처리하고, 중·동구에 신규 광역소각장을 설치하는 방안이다. 중·동구에 신설될 예정인 소각장은 하루 150t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소각로 2기를 갖춘 300t급 규모다. 서구는 자체 용역을 토대로 소각장 설치를 추진 중이며, 부평·계양은 인근 경기도의 지자체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변경된 계획대로 하면, 연수·미추홀·남동구는 송도센터, 서구·강화군은 청라센터, 중·동구는 신설, 부평·계양(추후 협의) 등 크게 4개 권역에서 광역소각장이 운영된다. 섬으로만 이뤄진 옹진군은 자체 처리한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