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열악한 공공의료시설 문제를 해결하려고 제2의료원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전국 7개 특별·광역시 가운데 인구 대비 병상·의사 수가 6위를 기록할 정도로 적다.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19 사태가 의료원 설립을 앞당기는 데 박차 구실을 했다.
시는 10월부터 2억5000만원을 들여 ‘인천광역시 제2의료원 설립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1년 동안 기존 의료원과 관내 공공의료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점검하고 제2의료원 입지 분석 및 선정 등을 검토한다. 시는 내실 있는 용역을 하려고 이번달부터 전문가와 시민단체, 지방의회 등 모두 15명 이내로 이뤄진 제2의료원 설립추진자문위원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인천 공공의료기관은 인천의료원, 인천보훈병원, 인천적십자병원 등 모두 8곳인데 전체 의료기관의 4.1%에 불과하다. 공공 병상 역시 1338개(이하 2019년 기준)로 인천 전체 병상 2만9890개 가운데 4.5% 수준이다. 인구 1000명당 공공의료기관 병상 수와 공공의료기관 의사 수는 각각 0.45병상과 0.4명으로 7개 특별·광역시 중 울산시 다음으로 적다.
인천시가 2019년 한 ‘제2인천의료원 건립 타당성 연구조사 용역 결과’를 보면 제2인천의료원을 인천 남부권에 세우면 비용 대비 편익(B/C) 값이 1.02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다만, 시는 막대한 재정이 투입된다는 이유로 제2의료원 건설을 장기과제로 미뤘다.
그러나 코로나19 발생 뒤 상황이 급변했다.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와 보건단체 등이 나서 시급하게 제2의료원 건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인천시도 뒷순위로 미뤄두었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안광찬 인천시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제2의료원 신설은 인천시민의 건강권 확보와 의료안전망 구축과 지역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하는 등 공공보건의료체계를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