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에 나선 가운데, 서울·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 등 전국 6대 도시철도 노동조합이 연대 총파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노조가 연대 파업 추진에 나선 것이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교통공사 노동조합은 이달 12~19일 전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쟁의행위 찬반 투표는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선 서울교통공사에 맞서 서울교통공사 노조를 비롯해 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 등 전국 6대 도시철도 연대 총파업에 동참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교통공사는 노조와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 과정에서 1조원대에 이르는 적자 해소를 위해 직원(1만6792명)의 약 10%를 감축하고, 임금을 동결하는 내용의 구조조정 계획을 제시했다.
앞서 이들 6대 노조는 지난달 21일 공동대의원대회를 열어 94.1%의 찬성률로 쟁의발생을 결의했다. 쟁의발생 결의에 따라 해당 노조 조합원을 대상으로 연대 파업에 대한 찬반을 묻는 절차를 노조마다 진행 중이다. 서울교통공사의 구조조정 추진이 비단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 모든 도시철도가 직면한 현실이라는 데 공감하고, 공동대응하기로 한 것이다.
노조 쪽은 △서울시·공사의 구조조정 계획 철회 △도시철도 재정위기 해소 대책 마련 △무임수송 손실비용 지원 제도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쪽이 공개한 전국 6대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연평균 5541억원의 무임수송 비용 손실이 발생했다. 서울도시철도가 연평균 336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221억원), 대구(519억원), 인천(241억원), 대전(111억원), 광주(81억원) 순이었다. 무임수송 손실금은 해당 지자체에서 모두 부담한다. 노조 쪽은 정부에서 60%를 보전해 주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처럼 국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발생으로 이용객이 감소하면서 지난해 6대 도시철도에서 발생한 당기순손실금만 1조8000억원에 이른다.
정현목 인천교통공사 노조위원장은 “인천교통공사도 무임수송 손실과 코로나19 이후 승객 감소, 노후시설 개선 등으로 1179억원 규모의 공사채를 발생하는 등 재정 상황이 좋지 않다”면서 “이번 연대파업 결의를 통해 정부의 지원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국민에게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합원의 압도적인 쟁의행위 결의를 받은 뒤 각 노조 대표들이 다시 만나 파업 시기와 방법 등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