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는 7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항 현장 인력 정상화’를 촉구했다. 노조 제공
인천국제공항공사 자회사 3사 노동조합은 7일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공항 여객은 늘었지만, 현장 인력은 코로나19 당시 줄어든 수준 그대로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는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항 현장 인력 정상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이후 인천공항 현장 인력 부족이 갈수록 심각해져 현재 전체 정원 9700명 가운데 881명이 부족하다. 항공수요 회복으로 급격히 업무량이 늘어 가까스로 버텨내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지난달 인천공항 여객수가 94만명을 기록했다. 이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애초 예상한 5월 여객 수인 54만 명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였지만, 인력 충원은 되지 않았다고 노조는 지적했다.
이들은 “이달부터 코로나19 시기 적용됐던 항공규제가 전면 해제되면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항공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7∼8월 여름 성수기 동안 기존 인력으로 모든 업무를 감당할 수 있을지 매우 불확실하다”고 주장했다.
노조 또 공사와 자회사에 현장 인력 충원, 임금 인상과 교대제 개편 실시, 처우 개선, 고용 보장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올해 1~4월까지만 벌써 188명이 퇴사했다. 남아 있는 인력, 새로 들어올 인력 모두 놓치기 전에 공사는 즉각 인력 충원과 처우를 개선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여객 95%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인위적 조정없이 정원을 유지하고 있다”며 “공항 여객은 코로나19 발생 이전 하루평균 20만명에서 현재 최대 4만명 수준으로 20%에 불과해 공항운영에 차질이 없고, 자연 감소 인력은 현재 단계적으로 채용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국제공항보안·인천공항시설관리·인천공항운영서비스 등 공사 3개 자회사에 속한 노동자는 인천공항의 검색·경비와 유지보수, 공항운영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 등의 업무를 맡는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