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단지 등에 둘러싸인 수원 군 공항 모습. 수원시 제공
도심 내 군 공항 이전을 둘러싼 경기 수원시와 화성시의 해묵은 갈등이 재점화됐다. 수원공군비행장을 화성 서해 쪽으로 이전하려는 수원시가 관할도 아닌 화성에 홍보사무실을 두고, 홍보물을 지역 주민들에게 우편으로 대량 발송하는 등 대대적인 홍보전을 펼치자 화성시가 ‘자치권 침해’라며 갈등 조정 및 법적 소송 검토 등 대응에 나선 것이다.
화성시는 수원시가 화성 화옹지구에 민·군 통합 국제공항이 확정된 것처럼 홍보해, 민-민 갈등을 부추기고 자치권을 침해하는 사례가 잇따라 강경하게 대응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지자체 간 갈등을 관리하기 위해 출범한 경기도 갈등관리 심의위원회나 지방 분쟁조정위원회에 안건 상정을 검토 중이다.
화성시는 수원시가 수원 공군비행장 이전 계획이 포함된 ‘경기국제공항’이 화옹지구로 확정된 것처럼 홍보하고, 관할 사무 구역 밖 화성 지역에 홍보사무실을 두고 화성시민에게 홍보물을 발송해 자치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한다. 화성시가 파악한 수원시의 자치권 침해 사례를 보면, 2021년과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화성 화옹지구 쪽 서부권 5만3천여가구에 ‘경기남부 통합 화성국제공항 건설’ 유치를 홍보하는 유인물을 발송했다. 국제공항 유치에 찬성하는 화성 지역 시민단체 명의로 배송됐지만, 해당 유인물은 수원시에서 제작한 것이다. 또 2017년부터 화성 서부권 우정읍과 동부권 병점동에 상생협력센터 사무실을 두고, 공항 유치 홍보 활동을 펼쳐왔다.
아울러 지난해 3월부터 3개월 동안 화성 지역 택배 차량 30대에 설치해 운영한 ‘화성국제공항’ 홍보 옥외광고도 수원시의 홍보예산 1100여만원이 투입된 것으로 화성시는 보고 있다. 최근 잇따르는 화성 지역 단체들의 화옹지구 유치 지지 선언 역시, 수원시가 대표성이 검증되지 않은 단체들을 앞세워 왜곡된 여론을 조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화성시는 주장한다.
수원 권선구 장지동과 화성시 황계동에 걸쳐 있는 수원비행장은 1954년부터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이 주둔 중이다. 주변이 도시화되면서 항공기 소음 등 민원이 끊이지 않자 수원시가 국방부에 군 공항 이전을 건의했고, 국방부가 2017년 2월 화성 화옹지구를 단독 이전 예비후보지로 선정하면서 화성시와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