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개통 뒤 61명이 극단적 선택을 한 국내 최장 교량 인천대교에 뛰어내림 방지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풍동실험’이 다음달부터 시작된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실(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은 인천대교㈜가 풍동실험을 위한 예산 1억원을 확보해 다음달부터 올 연말까지 실험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허 의원이 지난해 10월 국토교통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인천대교 뛰어내림 사고 방지대책 마련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국토부는 최근 뛰어내림 방지시설의 설치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조검토를 인천대교㈜ 쪽에 요청하고, 인천대교㈜ 이사회에서 예산을 승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인천대교㈜는 전문업체에 의뢰해 교량에 안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바람에 의한 진동 정도를 확인하는 풍동실험 등 교량 안전성을 기술적으로 검토한다. 올 연말까지 실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조처에 나서게 된다. 인천대교㈜ 쪽은 뛰어내림 사고 지점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량 양방향 각 6㎞ 구간에 뛰어내림 방지시설을 설치하면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인천 영종도와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국내 최장 21.4㎞ 길이 인천대교에서는 2009년 개통 이후 최근까지 61건의 뛰어내림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인천대교㈜ 쪽은 지난해 뛰어내림사고가 많은 양방향 각 3.75㎞ 구간 갓길에 차량 정차를 막는 드럼통 1500개를 설치하고, 순찰 횟수를 하루 26회로 늘리는 등 예방 조처를 강화했다. 하지만, 올해에만 6명이 숨지는 등 뛰어내림 사망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허 의원은 “지난 24일 국토부 어명소 제2차관과 간담회에서 인천대교 소유주인 정부도 뛰어내림 방지시설 설치를 위한 사업 예산을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