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장 길이 인천대교는 2009년 개통 이후 최근까지 65명이 추락 사망했다. 인천해양경찰서 제공
개통 이후 지금까지 65명이 추락 사고로 목숨을 잃은 인천대교에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해도 교량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추락방지시설 설치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허종식(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인천대교 운영사로부터 받은 ‘투신 방지 시설 내풍 안전성 검토 용역 결과보고서’를 보면, 인천대교 풍동실험 결과 이 시설을 설치해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풍동실험은 교량에 안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과 공기력을 측정하는 것을 뜻한다.
실험 결과, 내풍 안전성을 만족했고, 거더(구조물을 받치는 보)와 케이블·주탑에 대한 구조 검토 결과 모두 허용치를 충족했다. 이번 실험은 인천대교 구간 중 추락사고가 많은 왕복 12㎞ 구간에 2.5m 높이의 추락방지시설 설치를 가정한 것이다. 3가지 투신방지시설 안을 검토한 결과, 모두 구조 안전성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국내 최장 21.4㎞ 길이 인천대교에서는 2009년 개통 이후 최근까지 65건의 뛰어내림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운영사인 인천대교㈜ 쪽은 지난해 뛰어내림 사고가 많은 양방향 각 3.75㎞ 구간 갓길에 차량 정차를 막는 드럼통 1500개를 설치하고, 순찰 횟수를 하루 26회로 늘리는 등 예방 조처를 강화했다. 하지만, 올해에만 10명이 숨지는 등 추락사망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추락을 근본적으로 막는 방지시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 이어졌지만, 추가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교각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 탓에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이번 용역 결과에 따라 추락방지시설 설치 작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허 의원은 “국가나 지자체가 건설하지 않았더라도, 민간시설에도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해 반복되는 인명사고를 예방해야 한다”면서 “필요한 예산 120억원 증액을 국토부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