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구 제3보급단 내 군수창고. 이 창고는 1950년대 이 터에 주둔하던 미군이 지은 것이다. 인천시립박물관 제공
인천시가 이전 예정인 부평구 제3보급단 내 근·현대문화유산의 역사적 가치 지난 시설에 대한 활용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인천시립박물관은 최근 부대 이전이 추진 중인 부평 제3보급단을 현장 방문해 조사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천시는 3보급단 이전으로 89만㎡ 등 여의도 절반에 이르는 약 120만㎡의 유휴부지가 생길 것으로 보고, 종전 군부대 터 활용방안을 찾는 중이다. 이번 조사는 시립박물관이 추진 중인 인천지역 근·현대 문화유산 조사의 하나로 진행됐다.
제3보급단이 주둔 중인 부평 군부대 터는 1930년대 일본이 군수물자 조달을 위해 조병창으로 건설했다.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이 조병창으로 사용하다가 1975년 관리권이 국군으로 넘어왔다. 군부대의 특성상 민간인 접근이 통제되고, 보안구역으로 묶여 그동안 군 내부시설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
시립박물관의 현장 조사 결과, 이 터에는 일본강점기 일본이 항만과 내륙 간 군수물자 수송과 수탈을 위해 깔아 놓은 군용 철길과 1950년대 미군이 지은 군수창고도 그대로 남아 있다. 특히 창고 건물 여러 채는 구조물 일부를 보강한 것을 제외하면 70여년 전 모습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돼 역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유동현 시립박물관장은 “제3보급단 터는 단순한 군부대가 아니라 90여년 동안 일본군과 미군, 국군이 역사의 파고에 따라 주인이 바뀌어 오면서 굴곡진 한반도의 근·현대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다”며 “역사적 가치가 있는 시설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앞서 인천시는 올해 1월 국방부와 제3보급단 이전을 핵심으로 한 ‘군부대 재배치 사업과 연계한 원도심 활성화 정책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인천의 6개 예비군훈련장을 부평구 일신동과 계양구 둑실동 등 2곳으로 통합하고, 제3보급단을 일신동 17사단으로 이전·통합하기로 했다. 부대 이전 비용을 시가 지원하는 대신 군부대 터를 받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시는 부대 재배치 전담팀을 꾸려 종전 터 활용방안 등을 마련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