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신항건설기본계획에 포함된 신항만별 개발 계획도. 해양수산부 제공
2040년 목표 신항건설기본계획에 제주신항, 동해신항이 추가 지정돼 모두 12곳의 신항이 개발된다. 제주신항은 대형 크루즈 등 해양관광 중심지로, 동해신항은 신북방정책 전진기지로 각각 육성한다.
정부는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을 확정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1997년 최초 고시 이후 20년 만에 세워진 것이다. 기존 부산항 신항, 광양항, 평택·당진항, 목포신항, 포항영일만항, 보령신항, 울산신항, 인천북항, 인천신항, 새만금신항 등 10곳과 제주신항, 동해신항이 추가됐다.
전국 12곳 신항만 개발에 2040년까지 재정 16조819억원, 민자 25조7734억원 등 모두 41조8553억원이 투입된다. 부두 119선석을 비롯해 배후단지 3956만㎡가 조성된다. 신항 12곳에서 신규로 4억3천만톤(t)이 화물 처리시설을 갖춰 2040년에는 연간 18억5천만톤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새로 지정된 제주신항에는 최대 22만 톤급의 크루즈부두 4선석과 여객부두 9선석을 확충하는 한편, 관광·레저산업 지원을 위한 항만배후단지 82만㎡를 조성해 ‘해양관광 허브 항만’으로 육성한다. 2040년에는 470만 명의 크루즈 및 국내 연안여객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동해신항은 석탄 및 시멘트 등 영동권 산업원자재 수출입 지원을 위한 항만으로 개발하고, 포항영일만항·울산신항과 연계해 ‘동해권 대북방 경제 전진기지’로 활용한다. 울산신항은 액화천연가스(LNG)탱크, 벙커링 터미널 등을 조성해 유류, 액체화물을 처리하는 ‘동북아 에너지 허브항만’으로 개발 중이다.
1차 기본계획에 반영된 부산신항은 21선석 규모의 제2신항을 개발해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메가포트(Mega-Port)로 만든다. 광양항은 제철·석유화학산업, 자동차·컨테이너화물 처리,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R&D) 등의 집적을 통해 아시아의 ‘로테르담 모델’로 유도한다. 인천항, 평택·당진항, 새만금신항, 목포신항은 신남방 대중국 교역 중심축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앞서 해수부는 제1차 기본계획 고시 이후 전국 10개 신항만에 부두 156선석, 배후단지 1176만㎡를 조성했다. 그 결과, 부산항 신항은 지난해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6위, 환적물량 기준 세계 2위 항만으로 성장했다. 광양항도 지난해 세계에서 11번째로 3억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하는 종합물류항만으로 거듭났다.
문성혁 해수부장관은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신남방·신북방정책 추진, 선박 대형화, 친환경 액화천연가스 추진 선박 출현, 항만 미세먼지 저감 등 항만과 관련된 대내외 여건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며 “이런 변화에 맞춰 중장기 항만 정책방향 및 개발계획을 새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