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31일부터 인천 시내버스 노선이 병원이나 철도, 상권 등 시민들의 동선을 중심으로 개편되고, 한정면허도 모두 폐지된다.
인천시는 이런 내용의 ‘시내버스 노선체계개편 및 효율화방안 연구용역’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이번 용역에서 굴곡노선과 장거리노선을 줄이고, 현재 ‘간선’ 위주의 노선운영을 철도, 병원, 상권, 학교 등 시민들의 동선과 가까운 ‘지선’ 위주로 바꿀 계획이다.
아울러 버스노선 효율화 정책에 걸림돌이 된 시내버스 한정면허 17개 노선도 모두 폐지한다. 또 현재 4곳 밖에 없는 ‘버스 공영차고지’를 2021년까지 6곳, 2026년까지는 14곳으로 확대한다. 주52시간 근로제 시행에 따라 운전자의 근로시간을 단축 적용하고, 지하철 개통이후 버스승객이 대폭 줄어든 과다 운행대수 노선의 차량도 재조정한다.
이번 용역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인천연구원·인하대학교·㈜한국종합기술이 내년 5월까지 수행한다. 유동인구 등 다양한 자료를 토대로 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버스노선 개편안을 마련한다. 시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시민공청회·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보완한 뒤 내년 7월31일부터 노선개편을 전면 시행할 방침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시내버스 노선 합리화와 준공영제 재정절감은 지금까지 여러 난제와 복잡한 이해관계 때문에 해결하지 못했던 대표적인 숙원 과제였다”며 “이번 빅데이터를 활용한 노선개편으로 숙원을 해결하고, 대중교통을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