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1세대(55년~63년생)가 올해부터 만 65살로 진입함에 따라 인천시가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 관련 정책을 대폭 확대했다.
시는 지난해 수립한 ‘인천시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맞춤형 노인복지 정책을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300만 인천시 전체 인구의 13.7%를 차지하는 베이비붐 1세대가 올해부터 만 65살에 진입함에 따라 노인 문제와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계획을 세웠다.
시는 이 계획에 따라 올해 노인 분야 예산을 지난해 9264억원보다 20% 증액한 1조1176억원을 투입한다. 먼저, 늘어나는 노인 인구를 고려해 노인 일자리를 지난해보다 8371개 늘려 4만1090개로 확대했다. 우리학교아이지킴이, 초등학교 아동 돌봄사업 등 노인일자리사업에 지난해보다 538억원 늘어난 1458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한다.
전국 최초로 만 75살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승위계층 노인 4만1421명에게 1인당 8만원의 효드림 복지카드를 제공한다. 기초연금 최대 30만원 지원대상을 소득 하위 20%에서 40%로 확대한다. 올해 27만7753명이 혜택을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단기가사 등 6개 분야에서 1가지만 이용할 수 있던 노인돌봄서비스는 올해부터 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에 맞게 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개선했다.
경로당 1054곳에 무료 와이파이를 설치하고, 군·구립 경로당 10곳에는 공유부엌 등을 만들어 노인 소통 공간을 조성한다. 인천 미추홀구 관교노익복지관 등 6개 노인시설이 올해 새로 문을 열고, 남동 노인복지관 등 4곳이 올해 착공에 들어간다. 78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115명 수용 규모의 인천시립요양원도 짓는다. 올해 인천시의 10개 군·구 전 지역에 치매 친화적인 환경을 갖춘 치매안심마을도 조성된다.
앞서 시는 지난해까지 10개 군·구에 1곳씩 치매안심센터를 모두 설치했으며, 전국 최초로 쌍방향 영상통화와 온도·습도·동작 감지가 가능한 사물인터넷(IoT) 기술기반을 갖춘 안심폰을 홀몸노인 8414명에게 지급했다. 2017년 효행장려지원센터와 인천노령사회대응센터를 설립해 모든 세대에 걸친 소통·공감 프로그램 운영·개발과 인천형 일자리사업 연구·개발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