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을 틈타 공공기관을 사칭해 마스크 생산업체의 전화번호 착신전환을 유도한 뒤 거래처의 구매 대금을 가로채는 신종 사기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16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ㄱ씨는 지난 11일 오후 3시께 경기도 소재 한 마스크 생산업체 전화를 걸어 마스크 16만개를 주문하고, 구매대금 1억6000만원을 업체가 불러준 계좌로 송금했다. 송금 뒤 ㄱ씨는 기존 이 업체가 발행한 영수증과 계좌번호가 다르다는 점을 알고, 평소 알고 지낸 이 업체 직원의 휴대전화로 문의했다. 이 업체는 ㄱ씨로부터 마스크 구매 주문은 물론, 주문 전화를 받은 사실도 없다는 점을 수상하게 여기고 경찰에 신고했다.
조사 결과, 이 업체는 당일 오전 10시께 “고압선 공사로 전화가 단절될 수 있으니 사업에 피해가 없도록 회사 전화를 인터넷 전화(070)로 착신을 변경하라”는 한국전력공사 관계자라고 밝힌 한 남성의 전화를 받고, 이 남성이 제시한 인터넷 전화(070)번호로 업체 전화를 착신전환했다. 이후 이 업체 전화의 착신전환을 유도한 사기범이 마스크 구매 주문을 받은 뒤 대금만 가로챈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의 한 유통업체도 같은날 오후 5시께 피해 업체에 18만장의 마스크를 주문하고, 1억8천만원의 대금을 송금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사기범은 마스크 업체를 속이기 위해 한국전력공사 지사장 명의의 공문을 작성해 팩스로 보내는 등 미리 범행을 치밀하게 준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사기범 추적에 나선 한편, 추가 피해가 나지 않도록 마스크 업체들을 대상으로 전화나 현장 방문을 통한 예방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주문대금을 지급하기 전에 해당 업체 계좌번호, 세금계산서 등이 맞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구매대금이 클 경우에는 업체를 직접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