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원도심에 있는 우체국 폐국에 반발하고 나섰다.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운 노인 거주 비율이 높은 원도심에서 우체국은 일종의 복지기관 성격을 갖는다며 존치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등 21개 시민사회단체는 25일 인천 동구 송림동우체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네 우체국 폐국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우정사업본부가 폐국하려는 우체국 대부분 원도심에 몰려 있다”며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운 주민들에게 있어 우체국은 공과금 납부, 송금, 물품 전달 등을 해주는 복지기관의 성격을 갖고 있다. 원도심 주민의 불편과 고통을 외면한 조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원도심 주민들의 어려움을 위해 문재인 정부에서 생활 사회간접자본(SOC:경제 활동을 위한 기반이 되는 시설) 복합화 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생활에스오시형 기관인 우체국을 경영논리로 마구잡이로 없애는 것은 이런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전국 동네우체국 1436곳 중 677곳(47%) 폐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인지역 폐국 검토 대상은 92곳으로 이중 인천은 원도심에 있는 송림·연수·만석·화평·간석·구월우체국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단체는 “2016년 동인천우체국이 인천중동우체국으로 통폐합된 뒤 4년 동안 주민들의 불편은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며 “원도심 재생이나 신구도시 간 균형 발전을 위해서라도 우체국을 존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