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에 일정 기간 용지무상 제공 등의 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 민간투자 수요가 많은 인천, 평택·당진, 부산 등에 시범적으로 민간개발·분양 사업도 추진한다.
해양수산부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을 마련·발표했다. 이번 활성화 방안은 배후단지 내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에 방점을 뒀다. 최근 세계적인 개방경제, 무역장벽 철폐, 국제물류 활동 증가 등에 따라 항만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주로 항만지원기능에만 국한되는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먼저, 항만배후단지를 고부가가치 물류활동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원자재 수입부터 완성품 수출까지 가능한 유망품목‧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입주기업에는 일정 기간 용지무상 제공 또는 임대료 감면, 임대기간 연장 등 혜택을 부여한다. 수요자 중심의 사업제안 제도를 도입하는 등 입주기업 선정방식도 다양화하는 한편, 농·축·임산물 제조·가공업 등의 자유무역지역 내 입주제한 등의 입주자격 기준도 완화한다.
항만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일자리 창출 특화구역도 지정한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환적화물, 위·수탁 가공산업 클러스터 △인천항 콜드체인, 전자상거래 클러스터 △광양항 냉동·냉장, 석유화학·제철 클러스터 △울산항 친환경 에너지 클러스터로 각각 특화구역 지정할 방침이다. 지역산업과 연계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배후단지 공급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에 거쳐 지자체의 역할을 확대하고, 일부구역은 지자체 중심으로 기업을 유치하는 방안도 시범적으로 추진한다.
민간투자 수요가 많은 인천, 평택·당진, 부산 등은 시범적으로 민간개발·분양 사업도 추진한다. 항만별 수요를 고려해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배후단지 2970만㎡를 공급한다. 이 밖에도 항만별로 유관기관 간 협의체를 구축해 현장 밀착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통합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항만배후단지의 기능을 단순 물류거점이 아닌 복합물류거점으로 고도화해 지역 일자리와 물동량을 창출하는 핵심 산업공간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