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시청사 옆 인천시통합데이터센터 건물 외벽에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 관련 대형 현수막을 내걸었다.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를 공개 선언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시민의 날을 맞은 15일 오후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을 위한 시민공동행동 발표’를 통해 “2025년으로 설정해 놓은 수도권매립지 종료시계는 한치의 망설임과 물러섬 없이 달려갈 것”이라며 “쓰레기로부터 인천 독립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4자협의 주체(환경부·서울시·경기도)들이 인천의 처절한 몸부림과 외침을 외면하며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더는 내몰리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2025년 매립 종료 이후 수도권매립지 직통 전용도로를 전면 폐쇄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매립지 대체후보지 선정이 계속 미뤄지는 가운데, 5년 뒤 서울과 경기지역 일대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수 있게 된 셈이다.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전체면적 1685만㎡)는 1987년 난지도매립장이 포화함에 따라 당시 서울시 요청으로 환경청이 주도해 조성됐다. 2016년 매립 종료 1년을 앞두고 유정복 전 인천시장이 4자 협의체에서 2025년까지 매립 연장에 합의했다. 당시 ’2025년까지 대체매립지 조성을 하지 못할 경우, 추가 연장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도 포함돼 연장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발생지 자체처리에 동의하고 있지만, 자체매립지 조성이 마땅찮은 서울시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폐기물 반입량 현황을 보면 서울시 143만t(43%), 경기도 125만t(37%), 인천시 69만t(21%)으로 서울·경기 반입량이 79%를 차지했다.
박 시장은 이날 ‘발생지 처리원칙’과 관련한 ‘자원순환 정책’ 구상도 내놨다. 내용은 △건설·사업장 폐기물의 민간업체 자체처리 △‘1회용품 제로(Zero) 도시 인천’ 조성을 위한 생활폐기물 감축 △자원 재활용 확대△친환경 자체매립지 조성과 생활폐기물 소각장 건설 추진 등이다.
이에 시는 자체매립지 조성 및 생활폐기물 소각장 용역 결과를 다음달 중 공개할 방침이다. 입지후보지 용역 결과와 공모에 참여한 입지후보지 등을 종합 검토해 최종 선정한다. 후보지 공모에는 1개 법인이 신청한 상태다. 생활폐기물 소각장은 발생지 처리원칙을 최대한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2~3개 군·구가 함께 사용하는 권역별 광역소각장(시설용량 1855t) 7곳을 건설할 계획이다.
글·사진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