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가 있는 인천 옹진군 영흥도가 인천시의 쓰레기 자체매립지 후보지로 알려지면서 영흥도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의 쓰레기 자체 매립지 1곳과 소각장 7곳의 입지 후보지 발표를 앞두고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입지 예정 후보지로 알려진 지역 주민들이 주거환경·건강권 침해를 이유로 집단행동을 예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영흥도 쓰레기매립지 반대투쟁위원회는 2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흥도에 쓰레기매립장 건립하려는 계획을 철회하라”라고 촉구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 15일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를 선언하고,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자체 매립지 1곳(15만㎡)과 소각장 7곳(시설용량 1855톤)을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영흥도는 자체 매립지 후보지 중 한 곳으로 알려졌다. 반대투쟁위는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본부 제3회 처리장으로 거론됐다가 무산된 한 법인 소유의 76만㎡의 터가 입지 후보지가 되는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반대투쟁위는 “천혜의 섬 영흥도에 석탄화력발전소라는 거대한 환경저해 시설이 들어서 지역이 분열하고 주민 간 갈등이 깊어졌다. 수십 년 동안 석탄재로 인한 환경, 건강 피해도 모자라 쓰레기매립장까지 조성한다는 소식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라고 분개했다. 또 “주민 의견을 무시하고 영흥도에 쓰레기매립장을 유치한다면, 주민들은 죽을 각오로 이를 저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옹진군도 지난달 27일 영흥 주민들의 반대 의견을 인천시에 전달했다.
시는 오는 12일 쓰레기 자체 매립지 1곳과 소각장 7곳 입지 후보지를 발표하는데 결과에 따라 적잖은 후유증이 예상된다. 자체 매립지는 지난달 초 공모에 응모한 한 법인 소유의 땅 1곳의 현장 실사 조사와 매립지 입지 연구 용역에서 검토된 후보지 등을 토대로 최종 후보지 1곳을 선정한다. 시는 공식 발표 뒤 주민과의 대화 시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글·사진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