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남석 연수구청장이 26일 구청사에서 ‘소각장 등 건립 예비후보지 철회 공동 합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수구 제공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한 인천시의 자체 자원순환시설(소각장) 설치 발표에 대해, 인천 일부 기초단체장들이 철회를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인천 연수구·남동구·미추홀구(이하 남부권 단체장)는 26일 ‘소각장 등 건립 예비후보지 철회 공동 합의문’을 발표했다. 이날 합의에 따라 남부권 단체장은 인천시의 ‘자원순환환경시설 건립 계획안’ 중 중구 자원순환센터와 남동구 자원순환센터 예비후보지 건립 계획 백지화를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이날 ‘남부권 자원순환 정책협의회’를 공식 출범하고, 앞으로 협의회를 통해 세부적인 운영 계획도 수립하기로 했다. 이들 구청장은 박남춘 인천시장과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이들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한 인천시의 자원순환정책 전환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그런데도 자원순환센터 등 환경시설 건립을 위해서는 시민 생활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론화 과정과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2050년 탄소제로화에 부합하는 획기적인 정책을 통해서 재활용률을 95%까지 올리고 쓰레기를 최대한 감량한다면 현재의 자원순환시설로도 충분하게 처리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남부권 쓰레기는 연수구에 있는 하루 530톤 처리가 가능한 3개의 소각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인구증가 등 폐기물 소각량의 급격한 변동이 있을 경우 남부권협의회에서 재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시에 이날 합의된 공동의 입장을 전달하고, 소각장 건립 백지화를 요구할 방침이다.
앞서 시는 이달 12일 자체 매립지 후보지(옹진군 영흥도)와 소각장 후보지 3곳 후보지를 발표했다. 소각장 후보지에 남항 환경사업소와 남동구 음식물폐기물 사료화시설 용지가 포함됐다. 발표 이후 환경시설 후보지 인근 주민들은 물론 시·군 차원에서도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