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변경안 노선도.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부평연안부두선’ 등 철도 8개 노선 확충 계획을 담은 ‘인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변경안’을 확정해 국토교통부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변경안은 2016년 계획 수립 이후 변화된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해 기존 6개에서 2개 노선이 추가된 8개 노선 확충 계획을 담았다. 8개 노선 총연장은 87.79㎞으로 1.12㎞가 감소하고 총사업비는 1조4754억원이 줄어든 2조8620억원으로 조정했다.
경제성이 낮은 인천남부순환선을 ‘주안송도선’과 ‘인천2호선 논현 연장’으로 재기획해 사업성을 높이고 GTX-B(인천대입구) 및 인천발 KTX(송도)와의 접근성도 강화했다. 송도트램은 기존의 단계별 건설에서 전 구간 동시 건설로, 영종트램 1단계는 인천국제공항 활주로 안정성 등을 고려해 일부 노선(공항신도시∼제2여객터미널)을 제외했다.
부평역(GTX-B·경인선·인천1호선)∼캠프마켓∼가좌역(인천2호선)∼송림동∼인천역(경인선․수인선)∼연안부두를 잇는 ‘부평연안부두선’을 포함해 인천1호선 송도8공구 연장, 제물포연안부두선 등 3개 노선을 신규로 반영했다. ‘부평연안부두선’은 원도심 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 순위를 한 단계 높여 2순위로 조정했다.
인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변경안 투자 우선순위표. 인천시 제공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중인 ‘인천2호선 검단 연장’은 투자 1순위로 기존계획을 그대로 반영하고 인트램(IN-Tram)은 버스우선처리신호(S-BRT) 시범사업(인하대∼서인천, 국토부 선정) 및 주안송도선(인하대∼송도국제도시)과의 노선 중복 등을 고려해 제외했다.
장래 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진을 우선 검토할 수 있는 후보노선은 인천1호선 국제여객터미널 연장, 동인천청라선, 영종트램 전 구간, 자기부상철도 장래 확장 등 4개 노선을 제시했다. 이번에 승인을 신청한 변경안은 국토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적정성 검토, 관계 행정기관 협의 및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고시하게 된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