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서해평화특별기간 중 인천시청사에서 열린 전시회. 인천시 제공
북한과 한강하구·서해 5도를 접하고 있는 접경도시인 인천시가 올해부터 남북 평화와 공동성장을 위한 인적·물적 교류를 위한 ‘평화정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인천시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내년에 남북교류협력기금 100억원을 조성한다고 25일 밝혔다. 또 매년 20억원씩 추가 적립해 2030년까지 260억원 규모로 늘린다.
시는 올해 북한의 취약계층 영유아의 영양개선을 위해 분유 100t과 원료의약품 지원 등의 인도적 협력 사업을 추진한다. 앞서 시는 2019년 12월에도 북한에 영유아와 산모가 복용하는 항생제·비타민을 생산할 수 있는 원료의약품을 북한 제약공장에 전달한 바 있다.
아울러 단일도시 기준 세계1위 바이오의약품 생산도시의 장점을 살려 코로나19, 말라리아,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감염병 예방을 위한 남북 공동방역체계 구축 사업도 편다.
남북 공동성장을 위한 경제협력 사업 방안도 제시했다. 먼저, 2010년 5·24조처 이전 가장 많은 대북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던 인천-남포 항구를 포함한 기존 남북해상항로의 복원 사업을 중앙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다. 이번 제안에는 정전 협정상 중립지역인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 방안, 남북 어민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남북공동어로구역 예정지에 대한 해양생태어족자원 조사도 포함된다.
남북관계가 경색된 가운데 중앙정부 차원의 남북관계 변화에만 의존하지 않고, 인천시 차원에서 진행할 수 있는 평화의제 선언 등으로 무게 중심을 옮길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인천대회’를 개최하고, ‘동아시아접경지역과 서해평화협력지대 분석 고찰’ 연구 활동을 통해 지방정부 차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고, 그에 따른 대북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생각이다.
이 밖에도 ‘동북아 여자축구대회’와 ‘고려역사 강화·개성 남북학술대회’ 등 2016년 이후 중단된 다양한 사회·문화 교류사업도 다시 열어 남북의 마음을 하나로 이어갈 계획이다.
이용헌 시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은 “인천시는 민선7기 들어 광역시 최초로 평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제정, 남북교류협력담당관실 신설 등 평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왔다”면서 “인천시는 남북협력의 중추로서 주도적으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평화 정착과 남북 공동번영을 위한 발걸음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