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인천시청 앞에서 사월마을환경비상대책위원회과 환경단체 글로벌에코넷 등이 이주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글로벌에코넷 제공
환경부의 주민건강영향조사에서 전국 첫 ‘주거부적합’ 결정을 받은 수도권매립지 인근 ‘인천 사월마을’ 주민들이 거듭 주거 이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사월마을환경비상대책위원회과 환경단체 글로벌에코넷 등은 9일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9년 11월 환경부에서 실시한 건강영향조사에서 ‘주거부적합’ 결정이 내려진 뒤 1년 4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이주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들은 “사월마을 주민들은 지난해 4월 인천시와 서구청에 ‘2040인천도시기본계획상 북구권종합개발계획에 사월마을 개발을 반영해 달라’고 청원서를 제출했다”면서 “하지만, 시와 서구청은 이 청원을 주거환경을 개선해주면 (주민들이 계속) 거주할 수 있다는 취지로 둔갑시켜 계획을 짜려 한다”고 지적했다.
수도권매립지에서 불과 1㎞ 남짓 떨어진 인천 사월마을은 1992년 매립지 조성 이후 각종 분진과 소음, 침출수 등의 환경문제로 주민들이 일상생활에 큰 고통을 받고 있다. 환경부 조사결과, 매립지 주변에 각종 폐기물 처리 환경시설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면서 납, 망간, 니켈, 철 등 중금속 농도가 인근 지역보다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부는 ‘주거부적합’ 결정을 내리면서 시와 서구청에 사월마을을 대상으로 주민건강 모니터링, 환경개선사업 등 사후관리계획을 세워 시행하도록 조처했다. 서구는 가천대 길병원에 의뢰해 ‘사월마을 건강영향조사사후관리 용역’을 현재 진행 중이다. 해당 용역 중간보고서를 보면, 주민 상당수가 각종 호흡기 질환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초미세먼지 수치가 환경부 일평균 기준치(35㎍/㎥)보다 157%가량 더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옥경 사월마을 비대위원장은 “우리는 하루하루 지옥 같은 삶을 살고 있다”며 “사람이 살 수 없는 이곳은 이주만이 해결책”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