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인천지역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등 생계지원이 필요한 가정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22일 인천시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지난해 말 기준 인천시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자가 14만2628명으로, 전년 12만2027명보다 16.9% 증가했다. 올해 2월 말 기준으로 추가로 2040명 늘어 14만486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보다 18.7% 증가한 수치다.
갑작스런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시민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신속하게 지원해,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인천형 긴급복지사업’도 지난해 5077건으로 대폭 늘어났다. 이는 2019년 1972건보다 257%(3105건) 증가한 것이다. 인천형 긴급복지 지원 항목은 식료품비·의복비 등 생계지원(4인 가구 기준 123만원)을 비롯해 주거지원(4인 가구 기준 64만원), 의료지원, 학비지원, 공과금 지원 등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가구 소득이 감소하고, 실직 등으로 인한 위기가정이 가파르게 늘면서 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자 등이 증가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 지원 기준을 소득기준 85% 이하에서 100% 이하로 완화하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구가 늘어난 부분도 있다.
시는 생계가 어려운 이들 가구의 기초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올해 3650억원을 지원한다. 시는 위기에 처한 시민을 선제로 발굴해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750명으로 구성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도 운영할 방침이다. 단전, 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생활여건이 어렵거나 위기에 처한 시민을 찾아내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민우 인천시 복지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상황에 직면한 시민께서는 주저하지 말고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가능한 서비스를 지원받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