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각지에서 배출된 생활폐기물들이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되고 있다. 이정아 기자
인천시를 제외한 채 진행된 수도권매립지 대체 후보지 공모가 무산된 가운데, 환경부가 대체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경기·인천 단체장 회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15일 수도권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부장관이 오세훈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지사, 박남춘 인천시장과 양자 또는 다자 회동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날 대체매립지 확보추진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지난해 10월 수도권매립지 2025년 매립 종료를 선언한 박남춘 인천시장. 인천시 제공
추진단 또 공모 요건을 완화해 재공모 실시 여부를 검토하는 한편, 폐기물 반입량 감축 등 논의를 위해 매달 1회 4자(환경부·서울·경기·인천)간 국장급 논의를 하기로 했다. 아울러 소각시설을 조속히 확충해 수도권매립지에 종량제 쓰레기의 반입을 금지하고, 건설 폐기물 반입 제한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환경부·서울·경기도는 올해 1월부터 90일간 수도권 대체매립지 입지 후보지를 공모했지만, 응모한 지자체가 없어 무산됐다. 공모 조건은 전체 면적 220만㎡ 이상을 확보하고, 토지소유자 70% 이상의 동의를 얻는 것으로, 특별지원금 2500억원 지원 등의 혜택도 포함됐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친환경 자체매립지 조성 계획을 밝히고, 2025년 이후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더는 연장 사용하지 않겠다고 공표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이날 밝힌 대체매립지 확보추진단 논의 결과와 관련해 내부 의견을 조율해 내일 중 인천시 공식 입장을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