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27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인천상륙작전 당시 미군 폭격으로 희생된 월미도 유가족 등으로 구성된 월미도귀향댁책위원회가 ’인천시 과거사 피해주민의 생활안정 지원 조례’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이정하 기자
1950년 인천상륙작전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희생된 월미도 주민들의 넋을 기리는 위령비가 오는 9월 인천 월미공원에 세워진다.
인천시는 9월까지 중구 월미도 월미공원에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위령비’를 건립한다고 2일 밝혔다. 위령비에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 폭격으로 무고하게 희생된 월미도 민간인 피해자의 넋을 기리기 위해 비를 세운다’는 문구와 함께 신원이 확인된 10명의 희생자 이름이 새겨진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을 닷새 앞두고 상륙하기 전 미 해병대 소속 항공기가 월미도 일대를 폭격했다. 이날 폭격으로 월미도 주민 100여명이 희생된 것으로 알려졌다. 상륙작전 성공의 이면에 가려졌던 월미도 폭격 피해는 2008년 정부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진상을 규명하면서 알려지게 됐다. 일가족이 모두 숨진 경우가 많아 신원이 확인된 희생자는 10명에 불과했다.
시는 2008년 9월부터 매년 월미공원에서 개최한 월미도 민간인 희생자 위령제에 맞춰 오는 9월 위령비 제막식을 열 예정이다. 시는 위령비를 통해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한편, 전쟁의 실상을 후대에 알리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과거사위가 정부와 인천시에 권고한 미국과의 협상(한·미 공동조사 및 공동 책임), 월미도 원주민의 귀향 지원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국방부 등에 지속해서 권고 이행을 건의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별도로 조례 제정을 통해 지난해 5월부터 월미도 원주민 23명에게 매달 생활안정자금 25만원씩을 지원하고 있다. ‘인천시 과거사 피해주민의 생활안정 지원 조례’는 지난 2011년부터 제정을 추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가 지난해 7월 시와 시의회가 정부와 협의를 거쳐 가까스로 통과했다.
시 관계자는 “월미도 원주민들은 정당한 보상과 고향으로 돌아가길 원하고 있지만, 지방정부 차원에서 다뤄질 문제는 아니다”면서 “전쟁 피해인 만큼, 국방부와 협의 등 복잡한 절차가 있다”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