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8월부터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운용 예정인 이동형 음압병동의 내부 모습.
경기도가 8월부터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동형 음압병동 실증실험을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함께 진행한다.
경기도는 감염병 대응 역량을 키워 선제적으로 재난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원에 있는 경기도인재개발원 체육관에서 실증사업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실증사업은 2인 1실 15병실 30병상 규모로, 다음 달까지 생산과 설치를 마칠 예정이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원 쪽의 사전 검증을 거친 뒤 8월부터 실제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운용한다.
이동형 음압병동은 이동과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음압병동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남택진 교수팀이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의 기후와 지반 실정을 반영해 다용도로 조립이 가능하고 이동·설치·확장이 쉬운 에어텐트 구조의 블록형 모듈이다.
감염 환자에게 물건을 전달하고 상호교류가 가능한 ‘패스박스'와 전면 창이 있어 병동 안에 들어가지 않고 외부 회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진 때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아도 돼 의료진 피로도 감소와 의료진과 환자 사이 라포(rapport, 감정적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기대했다. 또 기존 진료환경과 연계·재설치 등 관리가 쉽고 입원환자 사생활 보호,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경기도가 8월부터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운용 예정인 이동형 음압병동.
도는 음압병동 구축에 필요한 경비·시간·설비와 효과적 운영을 위한 공간, 운영인력 등의 데이터를 확보해 향후 감염병 재난 발생 시 대응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동형 음압병동이 상용화되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할 때마다 발생하는 병상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감염병 유행 위기 발생 시 필수적인 방역시스템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사업에 참여하는 정일용 경기도의료원장은 “이동형 음압병동 사업은 갑작스러운 재난 상황에 닥칠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다. 코로나19 대응뿐만 아니라 코로나 이후 시대의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사진 경기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