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월드 상가총연합회·복합쇼핑몰 광주상인대책위는 30일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세계 지구단위 계획 반려를 촉구했다. 정대하 기자
광주지역 중소상인들이 최악의 교통난 지역인 광천동 사거리 인근에 신세계백화점 신축안과 임동 방직공장 터 개발 계획이 추진되는 것과 관련해 광주시에 상권영향평가 등 광주 상권 피해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금호월드 상가총연합회·복합쇼핑몰 광주상인대책위는 30일 오전 10시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세계 지구단위 계획을 반려하고 상권영향평가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건축위원회는 이날 오후 교통 관련 자문위원회를 열어 신세계백화점이 시에 제출한 지구단위 수립계획 안을 도시계획으로 입안할지를 결정한다. 대책위는 “주변 광주시 도로 83m를 사업 터로 편입하고 117m의 대체도로를 신설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금호월드 방문 고객 차량의 출입을 혼잡하게 만들어 금호월드 상권의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불공정한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자문위원회엔 지하차도 방향을 광천동 쪽으로 가는 남북방향으로 바꿔 건설하는 방안과 주차장 대수 증가, 시 도로 편입 뒤 금호월드 고객 이용 등의 방안을 추가로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책위 쪽은 “광천동과 인근 교통지옥의 진원지인 신세계백화점이 4배나 확장된다면 교통혼잡도 그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인근 임동 전방·일신방직 터에 ‘더 현대’까지 들어선다면 역대 최악의 교통지옥이 펼쳐질 것이다. 확장 불가와 도심 출점 불가가 유일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관내 대규모 점포 개설이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상권영향평가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시가 지난해 제정한 상권영향평가 조례엔 상권영향평가를 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고 시책을 강구해 추진해야 한다는 시장의 책무가 명시돼 있다. 대책위는 “하지만 광주시장은 유통 대기업들이 구체적인 사업계획서까지 제출하는데도 입점 효과만 일방적으로 홍보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신세계백화점이 변경 제출한 지하차도(운암고가~교원공제) 등은 근본적인 교통대책이 될 수 없다”며 교통영향평가를 실시를 촉구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