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0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 전국상임행사위원장단과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간담회에 앞서 5·18 구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올해 제40주년 5·18민주화운동 국가기념식의 옛 전남도청 앞 개최 계획에 전국 민주화인사들이 찬성의 뜻을 나타냈다.
4일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5·18행사위)의 말을 종합하면 전날 회의에서 상임위원들은 제40주년 5·18 기념식을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어 진압작전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5·18 전국화를 위해 구성된 전국상임위원장단에는 이철우 5·18기념재단 이사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지선 스님 등 전국 민주·사회단체장 10명이 참여하고 있다.
지선 스님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희생자 영혼은 현장에서 달래는 것이 도리다. 지난 40년간 한 번도 옛 도청에서 기념식이 열린 적이 없으니 이번 만이라도 현장에서 역사에 헌신한 영령을 위로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도 “옛 전남도청은 5·18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40주년이 됐으니 많은 사람이 방문할 수 있도록 장소를 변경하는 것도 괜찮은 방안이다”고 말했다.
5월 단체도 같은 의견이다. 김영훈 5·18유족회 회장은 “5·18은 특정 단체의 전유물이 아니다. 모든 시민이 공감하는 장소가 40주년 기념식장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이종 5·18부상자회 회장과 문흥식 5·18구속부상자회 회장도 옛 전남도청 진압작전 희생자를 위로하자는 데 찬성했다.
앞서 5·18행사위 위원장단 일부 위원은 5·18 정부기념식이 옛 전남도청에서 개최되면 전날 밤 열리는 전야제가 지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조진태 5·18행사위 집행위원장은 “전국상임위원들의 의견을 다시 안건으로 상정해 행사위에서 논의하겠다. 설문조사 등을 통해 광주시민 의견도 수렴해 최종 결정안을 국가보훈처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