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환 부산대 교수가 17일 합천 산불 때문에 불에 타서 줄기만 남은 소나무숲의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최상원 기자
산불을 예방하고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산에 임도를 개설하고, 간벌을 해서 숲 밀도를 낮추는 방식의 전통적인 산림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심지어 임도와 낮은 숲 밀도가 산불 확산의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도 나온다.
경남환경운동연합과 경남시민환경연구소 등으로 이뤄진 ‘2023년 합천 산불 민간조사단’은 17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산불 예방에 소용없는 임도와 숲가꾸기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주장했다. 앞서 이들 단체는 지난달 8일 오후 2시께부터 다음날 오전 10시께까지 20시간 동안 산림 163㏊를 불태운 경남 합천군 용주면 월평리 산불 현장을 2차례 조사했다.
이들은 “소나무만 남기고 다른 나무는 베어서 숲 밀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숲가꾸기를 한 지역의 피해가 컸고, 활엽수와 소나무가 섞인 혼합림의 피해는 거의 없었다. 소나무 송진이 연료 역할을 하면서, 날아다니는 불씨가 소나무만 태웠기 때문이다.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소나무만을 남기는 방식의 숲가꾸기는 생태계 파괴 사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산불이 임도를 따라서 번진 양상이 확실하게 확인됐다. 산불 진화용 임도 개설은 백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11일 오후 1시20분께부터 다음날 오전 11시30분께까지 22시간 동안 경남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지리산국립공원 구역에서 산불이 발생해 산림 91㏊를 태웠는데, 피해현장을 조사했던 ‘지리산국립공원 화개 대성골 산불 피해 민간조사단’도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20년 동안 우리나라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산불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으나, 낙엽활엽수림으로 자연스럽게 변해가는 숲이어서 피해 정도는 침엽수림 산불보다 훨씬 적었다”라며 인위적 산림복원과 임도 건설 자제를 주장했다.
임도 주변 소나무숲 피해가 컸던 합천 산불 현장 모습. ‘2023년 합천 산불 민간조사단’ 제공
현장조사에 참가했던 홍석환 부산대 교수(조경학과)는 “임도의 바람 세기는 숲 내부의 10배에 이르러, 산불이 났을 때 임도는 산불 확산의 주원인인 바람길 구실을 한다. 또 간벌을 해서 숲 밀도를 낮추는 방식의 숲가꾸기를 한 숲의 바람 세기는 숲가꾸기를 하지 않은 숲의 3배에 이른다. 소나무와 달리 활엽수는 물덩어리라고 할 만큼 불에 강하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또 “임도를 개설하고 숲 밀도를 낮추는 방식의 우리나라 산림정책은 잘못됐다. 이렇게 하면 산불에 강할 것이라는 생각은 현장의 현실과 전혀 다른 잘못된 상식으로,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대해 강명효 경남도 산림관리과장은 “활엽수가 산불에 강한 것도 맞고, 소나무가 많은 것이 대형 산불의 원인 중 하나인 것도 맞다. 그러나 산불 확산의 더 큰 원인은 바람과 지형으로, 이것은 인간이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전체 숲의 65%가 소나무인 상황에서, 자연적으로 소나무숲이 활엽수림으로 변할 때까지는 산불 진화 목적의 임도 개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