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영남

부산에서도 수요 시위는 계속된다

등록 2020-05-27 14:28수정 2020-05-27 14:32

27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 평화의소녀상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여성행동이 제53차 부산 수요시위를 열었다.
27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 평화의소녀상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여성행동이 제53차 부산 수요시위를 열었다.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부산의 53번째 수요시위가 열렸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여성행동은 27일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서 수요시위를 열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 운동에 대한 악의적 왜곡, 피해자 명예훼손·인권침해를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일본이 전쟁범죄에 대해 사회하고 법적 배상을 할 때까지 ‘부산 수요시위’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여성행동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국경을 넘어 여성에 대한 전쟁범죄에 대항하는 대표적인 운동이자,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을 지키려는 여성평화 인권운동의 상징이다. 전국의 양심적 국민과 시민사회가 함께 28년 동안 펼쳐온 운동이다. 하지만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자와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을 둘러싼 논란 등 정치 공세만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부산여성행동은 “일부 친일 언론과 정치인이 일제의 만행을 고발해온 30년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있다. 28년 동안 지켜온 수요시위와 전국 곳곳에 세워진 평화의소녀상마저 공격하고 있다. 운동의 본질을 무시한 채 뜻을 훼손하려는 시도는 당장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허남호 부산겨레하나 조직부장은 “친일 언론이 확인되지 않은 의혹만 퍼트리고 있다. 운동을 헐뜯고 있다. 이를 틈타 일본도 소녀상 철거 주장까지 내세우고 있다. 일본은 전쟁범죄에 대해 공식 사죄를 한 적이 없다. 문제는 단 하나도 해결되지 않았다.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피해자에 대한 법적 배상이 이뤄질 때까지 수요시위와 평화의 소녀상을 시민들과 함께 끝까지 지켜내겠다”고 말했다.

앞서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12월28일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소식이 전해지자, 부산의 여성단체는 2016년 1월6일 수요일부터 부산 수요시위를 시작했다. 이어 다달이 마지막 주 수요일 부산 수요시위가 열렸고, 이날로 53번째를 맞았다.

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1.

국내 첫 ‘철도 위 콤팩트시티’…남양주 다산 새도시에 건설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2.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15억 인조잔디 ‘쑥대밭 드리프트’ 범인은… 3.

15억 인조잔디 ‘쑥대밭 드리프트’ 범인은…

‘윤석열 변호’ 배보윤·도태우, 현직 서울시 인권위원장·위원이었다 4.

‘윤석열 변호’ 배보윤·도태우, 현직 서울시 인권위원장·위원이었다

경기도 안성 법계사서 큰불…대웅전 전소 5.

경기도 안성 법계사서 큰불…대웅전 전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