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책방지기 놀러 가고, 손님이 책 파네?…요상한 책방 [책&생각]

등록 2022-11-25 05:00수정 2022-11-25 15:31

‘책방, 국자와주걱’ 외경
‘책방, 국자와주걱’ 외경

우리 책방은요│책방, 국자와주걱

도시 생활에 더 이상 적응 못 하고 시골로 떠돌아다녔다. 다리 건너 강화에 쥐 방구리 드나들듯 하다가 이 집을 만났다. 시골 마을 구석구석 두리번거리며 걷다가 발견한 작은 농가 주택이다. 가슴 설레게 소박하고 담박해 마음에 들었다. 지은 지 90년이 넘은 오래된 농가 주택을 그렇게 만나서 17년째 살고 있다.

10년을 살다가 2015년, 벽에다 ‘책방, 국자와주걱’이라 쓰고 책을 파는 구멍가게를 시작했다. 특별한 각오도, 생각도 없이 또 물색없이 책방을 한 것이다. 손님들이 오면 책을 보고, 사가고, 잠도 자고… 그렇게 말이다. 아, 텃밭에서 일도 시키고, 같이 들판을 걷기도 하고, 시골 구석구석 싸돌아다니기도 한다. 이렇게 온 손님들이 소문을 내고 또 다른 손님들이 오곤 한다.

어떤 날은 한 사람도 안 오는 날이 있고, 어떤 날은 좁은 책방이 터져라 꽉 차기도 한다. 내가 본 다른 구멍가게 할매들은 손님이 안 와도 졸면서라도 가게를 지키고 앉아 계셨다. 하지만 나는 그냥 문을 열어둔 채 온 동네를, 산과 들을 돌아다닌다, 처음 온 사람들은 그래도 되는 거냐며, 놀라 입을 다물지 못한다. 익숙해진 사람들은 이제 안다. 이곳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책방이라는 것을.

내가 사는 강화 촌 동네는 작가들이 많이 살다보니 사람들은 국자와주걱이 어느 작가가 하는 줄 아는 모양이다.

“여기 김중미 작가가 하는 책방이죠?”

“함민복 시인이 하는 책방이죠?”

그러나 알고 보면 이상한 할매가 하는 요상한 책방이다. 그래서 손님들도 하나같이 요상하다. 손님들은 주인이 없어도 그냥 그런 줄 알고 자기가 주인이 되어 먼저 온 사람이 나중에 온 사람들에게 책도 팔고 또 졸리면 책방 마루에 누워 잠도 잔다. 북콘서트를 하러 왔던 어느 작가는 국자와주걱에 빠져 이웃집으로 이사를 오기도 했다.

책방을 하면서 알게 된 손님들 중에 전국 곳곳에서 책방을 하는 책방지기들도 있다. 어느 더운 여름날 온 손님은 서울에서 작은 책방을 하는 분이었다. 보자마자 서로 콩깍지가 껴서 팥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믿는 관계가 되었다. 그 책방이 느닷없이 제주로 이사했다. 우리는 서로 지역을 바꿔서 책방을 지키기로 했다. 내가 제주로, 제주 책방지기는 강화로!

그렇게 지난 여름 한 달 동안 나는 제주에서 책방을 지켰다. 국자와주걱 손님들이 전화를 했다. 내가 제주에 있다고 하니 바로 제주행 비행기 표를 끊어서 날아왔다. 제주에서 이삼일씩 함께 지내면서 같이 책방을 보았다. 그렇게 세 팀 정도가 제주 책방을 다녀갔다.

7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책을 잘 파는 요령은 없다. 다만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소박한 공간, 책이 있고 사람이 모이는 공간으로 계속 있고 싶다. 책방이라 이름 붙었으나 농부들의 먹거리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장소, 지역의 작가들, 음악 하는 사람들, 그림 그리는 사람들, 영상 만드는 사람들, 이웃에 있는 발달장애 청년들이 언제든 맘 놓고 와서 전시도 하고 그들의 재능을 발표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감이 좋다.

겨울이다. 곧 눈도 내리겠지. 아니, 이러다 눈이 아니고 장맛비가 내릴 것 같은 날씨다. 계절도 무너지는 요즘 세상의 모습들에도 불구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책을 통해 사람을 불러모으는 작은 책방의 지기들. 모두 힘냅시다!

강화/글·사진 김현숙 국자와주걱 책방지기

국자와주걱

인천 강화군 양도면 강화남로428번길 46-27

https://www.instagram.com/9ookja_jooguk.bookstay

‘책방, 국자와주걱’ 내부. 지은 지 90년 넘은 농가주택에 책방을 차렸다.
‘책방, 국자와주걱’ 내부. 지은 지 90년 넘은 농가주택에 책방을 차렸다.

‘책방, 국자와주걱’에서 손님들이 모임을 갖고 있는 모습.
‘책방, 국자와주걱’에서 손님들이 모임을 갖고 있는 모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