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식민지 경험 세 대륙의 연대 꾀하자

등록 2018-12-14 06:01수정 2018-12-14 20:05

다인종 다문화 상상과 페미니스트 문화정치
태혜숙 지음/문화과학사·2만3000원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최근 페미니즘 물결을 타고 널리 퍼진 문장이지만 조금만 파고들면 이내 궁금해진다. ‘우리’는 누구이며 ‘연결’은 어떻게 가능한가. 탈식민 페미니즘 비평이론가인 태혜숙은 이런 근원적 질문에 담대한 대답을 선사한다.

이 책에서 ‘우리’의 범위는 대륙을 넘나든다. 태혜숙이 천착해온 탈식민 페미니즘은 식민지 경험을 가진 지역의 문제를 여성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결점을 모색하려는 이론적 시도다. 그는 아시아를 묶어낸 가야트리 스피박의 ‘탈식민’ 개념을 받아 안고, 유럽의 식민주의를 공통으로 경험한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세 대륙을 연결하는 로버트 영의 ‘트리컨티넨탈리즘’ 시각을 따른다.

이 책은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대륙의 다양한 지역이 단순 연결을 넘어 적극적 연대를 꾀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식민지 경험의 반작용으로 민족국가 단위의 고립을 겪어온 이들 지역에 ‘행성성’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펼친다. 오랜 시간 상호 고립되어왔던 하위주체를 묶어내는 축으로서 페미니즘·마르크스주의·생태주의의 상호 참조를 강조한다. 이른바 ‘적(노동·계급·생산)-녹(생태·환경·자연)-보라(성·젠더·섹슈얼리티) 패러다임’이 연대의 물꼬를 튼다.

태혜숙에게 하위주체의 상상력을 깨울 바탕은 사회과학이 아니라 인문학이다. 그는 이 책에서 백인 남녀 중심의 서사 ‘다시 읽기’와 비백인 하위주체의 서사 ‘다시 쓰기’를 시도한다. 조지 오웰의 <버마 시절>,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등 영미문학이 남긴 성과에서 누락되고 생략되어 온 목소리를 드러내고 모아낸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번잡한 일상 내려놓은 대도시의 매력 찾아…하루짜리 서울 여행 1.

번잡한 일상 내려놓은 대도시의 매력 찾아…하루짜리 서울 여행

검은 물살 타고 대마도 밀려 간 제주 사람들 2.

검은 물살 타고 대마도 밀려 간 제주 사람들

경복궁 주변 파봤더니 고려시대 유물이 줄줄이? 3.

경복궁 주변 파봤더니 고려시대 유물이 줄줄이?

1월 24일 학술지성 새 책 4.

1월 24일 학술지성 새 책

음악인 2645명 “반란세력에게 앙코르는 없다” 시국선언 5.

음악인 2645명 “반란세력에게 앙코르는 없다” 시국선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