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최대 규모의 출판 지원 사업인 ‘세종도서 사업’을 그동안 운영상의 미비점을 이유로 미뤄왔는데, 오는 22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운영상 미비점을 일부 개선해 올해 사업 공고를 내기로 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시행을 미뤄온 올해 ‘세종도서 선정·구입 지원사업’이 ‘세종도서 지원사업’으로 명칭을 바꾸고 이달 재개된다. 채점표를 신설하고 추천위원 자격을 강화하는 한편, 예산은 1억원 줄어든다.
곽미순 세종도서 운영위원회 위원장은 13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운영의 미비점을 일부 보완해 올해 세종도서 지원사업을 시행한다”며 “오는 22일 사업 공고가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세종도서 관련 예산은 지난해 견줘 1억원 정도 줄어 교양도서 550종, 학술도서 390종을 선정하기로 했다.
세종도서 사업은 정부가 교양부문(550종)·학술부문(400종) 양서를 선정해 국고로 구매해주는 사업으로, 지난해 예산 규모는 84억원이었다. 올해 들어 별다른 설명 없이 사업을 지연시키던 문체부가 지난달 21일 “세종도서 사업이 부실투성이로 운영”되고 있다며 “사업의 구조적인 수술이 불가피하다”(박보균 장관)고 보도자료를 냈고, 그 여파로 출판계에서는 문체부가 운영의 미비점을 빌미로 이 사업을 축소시키지 않을까 우려해왔다. 이에 출판단체들이 세종도서 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속한 사업 시행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내는가 하면, 출판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세종도서 사업을 오히려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들도 나왔다.
이같은 출판계의 우려 속에서 이 사업의 시행을 맡고 있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출판진흥원)은 문체부가 거론한 운영상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했다. 개선안은 현행 ‘세종도서 심사위원회’를 ‘세종도서 추천위원회’로 명칭을 바꾸고, 추천위원과 심사 배점 관련 사항을 강화하는 안으로 구성됐다. 기존에는 ‘기획 독창성’ ‘내용 충실성’ 등을 평가항목으로 삼고 배점·채점표가 없었다면, 개선안에서는 배점·채점표를 마련해 좀 더 명확하고 투명한 심사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추천위원 자격 조건과 검증에서 기존엔 ‘신문, 잡지 등에 서평을 기고 또는 연재한 경험이 풍부한 자’ ‘학술 및 교양 부문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등으로 모호한 표현이 있었다면, 개선안에서는 관련 분야에서 경력 등이 몇 년 이상이어야 하는지 등을 구체화하고 추천위원에게 확약서 등을 받는 절차를 추가하는 등 검증을 강화하기로 했다.
곽 위원장은 “세종도서 사업을 기다리는 출판사들이 많아 13일 운영위에서는 개선안을 일단 통과시켰지만, 이번 사태를 겪으며 세종도서 운영위가 책임은 있지만 아무런 권한이 없는 조직임을 뼈저리게 깨달았다”며 “사업을 민간으로 이양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포함해 세종도서 사업 전반에 대한 출판계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