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dog를 거꾸로하면 god

등록 2015-03-24 19:34수정 2015-05-27 08:51

시네 플러스+
영화를 처음 담당하고, 매일 시사회장을 쫓아다니느라 정신이 없습니다. 독자들에게 소개할 좋은 영화를 먼저 봤을 때는 기쁘고, 도저히 아닌 영화는 고역입니다.

오늘은 ‘개 영화’를 얘기하려 합니다. 저도 집에 개가 세 마리입니다. 원래 두 마리였는데, 아파트 화단에서 한 마리를 더 데려왔지요. 잡종 유기견으로 덩치가 커서 뛸 때면 좀 무섭기도 합니다. 하루 종일 소파를 차지하고 늘어지게 잠을 자는 모습을 보면, 정말 ‘개 팔자가 상팔자’란 생각도 듭니다.

반려견과 함께 사는지라 <화이트 갓>은 공감이 많이 가는 영화입니다. ‘개’라는 말을 붙이면 욕설이 되지만, 이 영화 정말 ‘개 판’입니다. 주인공도 하겐이라는 이름의 개이고, 막판에 수백 마리의 개가 등장합니다. 영화 이름의 ‘갓’(god)은 개(dog)의 철자를 거꾸로 한 것입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13살 소녀 릴리가 사랑하는 하겐은 여차여차한 이유로 버려집니다. 도시라는 정글 속에서 생존을 위해 하겐은 뛰고 또 뜁니다. 수많은 반려견이 버려지는 현실을 그대로 담았지요. 지난겨울 충남 서산의 만리포해수욕장에 들른 적이 있습니다. 한 식당 아주머니는 “여름 피서철에 해수욕장에 많은 개가 버려진다. 어떤 개는 주인이 타고 있을 것 같은 승용차를 쫓아 찻길을 막 뛴다”고 하더군요.

하겐은 버려지기만 한 게 아니라 착취를 당합니다. 그 다정한 놈이 투견으로 길러집니다. 관객은 이 장면에서 아프리카 노예를 떠올릴 것입니다. 민중 반란을 떠올리게 하는 장면도 있습니다. 감독도 이 영화를 단순한 반려견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은유였다고 했답니다. 영화 제목도 백인의 식민지배를 은근히 지칭한 겁니다. 관객은 무엇보다 하겐의 연기력에 감탄하게 될 겁니다. 공포와 분노, 평온을 너무도 잘 표현합니다. 영화에 나오는 개들은 모두 동물보호소에서 데려왔는데, 촬영 뒤 전부 입양됐다고 합니다.

제69회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을 받았고, 하겐 역을 한 개는 이 영화제에서 ‘팜 도그 대상’을 탔답니다.

안창현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