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고령층(55∼79살)이 전체 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 열 명 중 일곱명이 계속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는데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이 58.7%로 가장 많았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1년 전보다 모두 올랐지만, 전문가들은 “역설적으로 노후 안전망이 미비한 나라의 현실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지적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55∼79살 고령층 인구는 1476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49만4천명(+3.5%) 늘었다. 이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8%로 지난해보다 0.5%포인트 올랐고, 고용률은 56%로 0.7%포인트 올랐다.
노인들의 일자리는 대부분 ‘생계형’인 것으로 분석된다.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층 비율은 68.1%인데 이 가운데 58.7%는 ‘생활비’를 그 이유로 꼽았다. 일하기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3살까지’였다. 현재 일을 하는 이들은 대다수(93.1%)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고, 취업경험이 있지만 지금은 일하지 않는 이들도 38.4%는 취업을 원하고 있었다. 고령층 가운데 지난 1년 동안 구직경험이 있는 비율은 21.1%로 1년 전보다 2%포인트 늘었다. 주된 구직경로는 고용노동부 및 기타 공공 취업알선기관이 36.9%로 가장 높았고, 친구·친지 소개 및 부탁이 32.3%로 그 뒤를 이었다.
노인이 되어서도 일을 쉴 수 없는 현실은 빈약한 노후 안전망 탓이 크다. 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고령층의 비율은 지난해보다 1.3%포인트 늘었지만 여전히 48.4%로 절반이 채 안 됐다. 은퇴 연령인 60∼79살로 좁혀보더라도 연금 수령 비율은 64.9%에 불과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도 64만원에 그쳤다. 연금을 150만원 이상 받는 비중은 9.5%밖에 안됐고, 20만∼50만원 미만 수령자가 38.1%로 가장 많았다.
노인 일자리의 질도 문제다. 고령층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8.1%로 가장 높았다. 이는 청소·경비직 등 파견·용역 일자리가 대다수로 임금 수준도 낮고 고용 안정성도 떨어지는 편이다. 65∼79살로 좁혀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취업 비율이 43.9%까지 올라갔다. 단순노무종사자 비율도 55∼64살은 20.1%인데 65∼79살은 36.3%까지 올라간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나쁜 일자리로 내몰리는 현상이 통계로도 나타난 셈이다.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무사히 정년퇴직한 노인은 7.5%에 불과했다. 55∼64세 인구 가운데 가장 오래 근무했던 일자리를 그만둔 사람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사업부진·조업중단·휴폐업’이 33%로 가장 많았다. 가장 오래 근무했던 일자리를 그만둔 시점은 평균 49.3살이었다. 애초에 가지고 있던 일자리 역시 열악한 상황이었다는 사실을 유추해볼 수 있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최근에 청년 일자리 상황이 심각하다는 논의가 부각되고 있지만, 실제로 더 심각하고 시급한 건 노인 빈곤 현실이다. 노인들의 생존하고도 직결된 문제”라며 “노인 빈곤 해결을 위해서는 연금체제 강화·이전소득 지원·노인 일자리 등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앞에 두 가지 전제 조건이 결여된 상태에서 재정지원 일자리만 제공하는 중”이라고 지적했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