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4년 만에 첫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2분기에 지급된 전국민 재난지원금으로 인한 기저효과 영향으로 하위 80% 가구 소득이 모두 줄어든 가운데, 상위 20% 가구만 ‘나홀로 증가’를 보였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년 전보다 0.7%(-2만8천원) 줄어든 428만7천원으로 나타났다. 완만한 경기 회복세 속에서 근로·사업·재산 소득이 모두 증가했으나 공적이전소득이 많이 감소한 결과다. 이는 2017년 2분기에 0.5%(-1만9천원) 감소한 이후 16분기만에 나타난 첫 마이너스 전환이다. 다만 통계청은 올해 1분기 가계동향조사부터 공표 범위를 기존 ‘2인 이상 비농림어가’에서 1인 가구와 농림어가를 포함해 전체 가구로 확대한 바 있다.
정부는 지난해 2분기에 전국민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서 공적이전소득이 전년 대비 113.7%나 늘었던 데 따른 착시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2분기에 전국민 재난지원금 등 대규모 정책지원이 집중돼 공적이전소득이 이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며 “(올 2분기) 전년 대비 공적이전소득은 감소했지만 코로나19 피해계층 지원이 지속되며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코로나19 확산 1년 만에 더욱 심화한 ‘양극화’다. 공적이전소득 감소로 하위 80% 가구의 2분기 소득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상위 20% 가구만 월평균 소득이 924만1천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다. 상위 20% 가구 역시 공적이전소득이 줄었지만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었고, 근로소득(4.8%)·사업소득(1.3%)·재산소득(127.7%)에 비경상소득(16.4%)까지 증가한 결과다.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6만6천원으로 1년 전보다 6.3% 감소했다. 이는 2018년 2분기(-16.7%)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하위 20% 가구는 경기 개선의 영향으로 근로소득(19.6%)과 사업소득(16.1%) 등 시장소득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적이전소득이 22.5%나 감소하며 총소득이 줄었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5분위 배율’은 5.59배로 지난해 2분기보다 0.56배포인트 오르면서 다소 악화했다. 5분위 배율은 소득 상위 20%(5분위)의 평균 소득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배율이 클수록 소득 격차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 기재부는 “비교 대상이 되는 지난해 2분기가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았던 시기인 만큼 전년 동분기 뿐만 아니라 코로나 이전 2019년 2분기와 비교한 지표 변화 등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는 상황이 악화했지만, 2019년 2분기와 견주면 5.74배에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