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의 한 전통시장에 방역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7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51만8천명 늘어 6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오름세는 둔화하는 모양새다. 코로나19 ‘4차 유행’의 영향으로 대면서비스업과 제조업에서는 취업자 수 감소도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 7월 취업자 수는 2760만3천명으로 1년 전 같은 달과 견주어 51만8천명 늘었다. 취업자 수는 지난 3월에 전년 대비 31만4천명 증가한 것을 시작으로 6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하지만 오름폭은 4월에 65만2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5월(61만9천명), 6월(58만2천명)을 지나며 점차 둔화했다. 실업자 수는 74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명 줄었고, 비경제활동인구는 ‘재학·수강 등’과 ‘육아’ 항목을 중심으로 10만6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1.2%로 지난해보다 0.8%포인트 올랐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8월 고용동향은 수출 호조와 전년도의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가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등 지난 6~7월과 유사한 모습을 이어갔다”며 “4차 확산이 지속되고 있지만 1~3차 확산 때와 달리 일부 업종에 제한적 영향을 미쳤고, 보건복지와 건설업은 증가를 주도한 반면 숙박·음식업 등의 대면 업종 중심의 감소세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30대는 8만8천명 감소해 18개월 연속 내림세다. 통계청은 30대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있어서 나타난 ‘인구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30대는 1년 전보다 인구가 14만3천명 줄어서 취업자 수도 자연 감소할 수밖에 없는데, 오히려 예상 감소분(10만8천명)보다 실제 취업자 수 감소폭이 적었다는 것이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4만3천명), 건설업(+12만3천명), 운수 및 창고업(+10만7천명)에서 취업자 수 증가를 견인했다. 한편 도매 및 소매업(-11만3천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4만3천명) 등 대면서비스업에서 타격이 컸다. 제조업은 7만6천명이 감소해 지난 2월 이후 6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지난 7월 ‘4차 유행’이 본격화되고 수도권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되면서 고용 회복세가 한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으나,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회복 흐름이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저효과를 제거하고 월별 고용 추세를 비교할 수 있는 ‘계절조정 기준’으로 봐도 취업자 수는 지난달보다 4만8천명 늘어 7개월째 회복세를 이어갔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