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동남권 발전 계획 수립 공동 연구 결과 보고회’를 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 지역의 경제 활동 인구가 30년 뒤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인구 감소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특히 영남권이 직격탄을 맞으리라는 것이다.
통계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의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 결과’를 공개했다. 통계청은 앞서 지난해 말 한국 인구가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고 오는 2050년 4736만명으로 약 9%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30년간 지역별 인구 전망을 새로 내놓은 것이다.
2050년 국내 모든 권역의 인구가 2020년에 견줘 줄 것으로 전망됐다. 감소 폭은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등 영남권이 21%로 가장 크다. 영남권 인구 수는 2020년 1290만명에서 2050년 1019만명으로 1천만명에 턱걸이할 전망이다. 호남권(-14.3%), 수도권(-3.6%), 중부권(-0.2%)이 뒤를 잇는다.
통계청 쪽은 “부산은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데다, 대구와 함께 1990년대 초반부터 인구가 계속해서 수도권 등으로 순유출되고 있다”며 “울산도 2015년쯤부터 현대중공업 구조조정 등 조선업 침체 여파로 청년층 중심으로 전 세대에서 인구 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구 자연 감소, 외부 유출로 영남권의 만 15∼64살 생산 연령 인구는 앞으로 30년간 47.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 활동할 사람이 사실상 반 토막 난다는 의미다. 호남권(-40.8%), 중부권(-30%), 수도권(-29.8%) 등도 생산 인구가 가파르게 준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대전·세종·강원·충청 등 중부권은 각각 2035년과 2038년에 인구 정점을 찍고 완만한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추산됐다. 수도권과 중부권 중심의 ‘인구 쏠림’은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는 얘기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에선 2050년 경기·세종·제주·충남을 제외한 13곳의 인구 수가 2020년에 견줘 일제히 쪼그라들 전망이다. 2020년 962만명에 달했던 서울 인구는 2050년엔 792만명으로 18% 줄어든다. 부산·대구·울산 등 영남권 주요 도시는 인구 감소율이 25%를 넘을 전망이다. 특히 2040년을 전후해 경기·제주·충남도 인구 역성장을 시작하며 세종시를 뺀 모든 지역에서 인구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전국 중위 연령(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은 2020년 43.7살에서 2050년 57.9살로 올라간다. 2050년 중위 연령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64.7살에 이른다. 주민 절반 이상이 65살이 넘는다는 의미다. 서울도 55.4세가 되고,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인 세종시의 중위 연령도 50.9살로 50살을 넘어설 전망이다.
전국에서 가장 나이 든 도시인 전남의 노년 부양비는 2020년 35명에서 2050년 114.2명으로 훌쩍 올라갈 예정이다. 만 15∼64세 생산 연령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만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가 35명에서 114명으로 3배 넘게 늘어난다는 뜻이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