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GDP 3% 이내 적자’만 허용한다는 정부…전문가들 “지속 불가능”

등록 2022-09-13 16:58수정 2022-09-14 10:17

정부, 재정준칙 도입방안 확정
관리재정수지 적자 GDP의 3% 이내 관리
국가채무비율 60% 넘으면 적자 2% 이내
기준에 대한 구체적 근거 제시하지 않아
재정준칙 유럽국가들 ‘단순한 기준’ 반성 시작
“재정준칙 지키기만 하면 재정건전화는 착각”
“그저 준칙지키는 일에만 몰두하게 될수도”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3% 이내로 운용하는 내용의 ‘재정준칙’을 법제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제시했던 재정준칙보다 더 엄격한 방향으로 재설계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 이를 지키기 위한 세입 확충전략 등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재원 조달 방안이 빠진 재정준칙 논의는 지속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정부는 13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어 재정준칙 도입방안을 확정했다. 재정준칙은 나라살림의 수지와 채무를 일정 한도 내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이다. 이번에 공개된 재정준칙은 관리재정수지(재정 총수입-총지출-사회보장성기금 수지) 적자를 국내총생산의 3% 이내로 관리하고, 국내총생산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60%를 넘으면 재정적자 상한을 2% 이내로 축소한다는 것이 뼈대다. 정부는 전쟁·대규모의 재난·경기침체 등 위기 상황에서는 준칙 적용을 면제하는 예외 요건도 덧붙였다. 이 예외사유는 추가경정예산 편성 요건과 동일하다. 정부는 이러한 재정준칙을 법률로 정하고 5년마다 한도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관리재정수지 ‘-3%’ 및 국가채무비율 ‘60%’ 기준에 대한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그저 관리재정수지 적자 3%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의미하며, 국가채무비율 60%는 “유럽연합 회원국 등 많은 국가들이 채무 기준으로 60%를 채택했다”는 설명이 전부다. 정부는 이 목표를 어떻게 실현할지에 대해 아무런 방법론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재량지출은 물론이고 의무지출에서도 성역 없는 지출 구조조정 노력으로 균형 있게 재정준칙 이행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내놓지 못했다. 세입 기반 확충에 대한 발언은 일절 없었다.

구체적인 전략 없이 재정준칙을 도입했다가는 가파른 고령화로 늘어나고 있는 복지 수요에 대한 대응 속도만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높은 복지 수준’, ‘낮은 조세부담’, ‘작은 국가채무’ 등 3가지 정책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는 ‘재정 트릴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노욱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재정적자 -3%나 국가채무비율 60%라는 숫자가 과연 적정하냐는 논란도 있지만, 진짜 문제는 준칙을 어떻게 지키겠다는 것인지 말하지 않는 것”이라며, “재정준칙도 지키고 제대로 된 복지도 하려면 재원 조달 방안이 필요한데 이 논의가 없으니 지속 불가능한 선언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찍이 재정준칙을 도입했던 유럽 국가들에서는 ‘재정적자 -3%’ 또는 ‘국가채무비율 60%’ 등 단순한 기준으로 재정을 통제하는 방식을 둘러싼 반성이 이미 시작됐다. 유럽연합의 재정준칙이 어느 정도 부채 확대를 막는 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금융위기 이후 ‘조기 긴축’을 불러 경제 회복을 지연시켰다는 것은 경제학자들 사이의 중론이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도 유럽연합에 “3% 적자와 60% 국가채무라는 참고치는 남아 있지만, 재정 조정의 속도는 재정위험의 정도와 연결되어야 한다”면서 “충격에 대응하고 경기부양책을 수행할 수 있는 상당한 유연성을 허용하는 재정 완충장치의 구축을 장려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이상민 나라살림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재정 건전성을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재정지표들이 있는데 한두 가지 지표로 이루어진 재정준칙을 만들어버리면 다양한 지표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이 재정준칙을 지키기만 하면 우리 재정이 건전화된다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고 말했다. 재정준칙이 지나치게 단순할 경우, 정부가 재정을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일보다 그저 재정준칙을 지키는 일에 더 몰두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1.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2.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사망보험금도 생전에 받아 쓴다…이르면 하반기부터 3.

사망보험금도 생전에 받아 쓴다…이르면 하반기부터

6일의 설 연휴, 고속도로·공공주차장 무료로 열린다 4.

6일의 설 연휴, 고속도로·공공주차장 무료로 열린다

BTS 촬영지 무궁화호 타고 떠나자…경기 북부 교외선 재개통 5.

BTS 촬영지 무궁화호 타고 떠나자…경기 북부 교외선 재개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