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1인당 세부담, 4년 만에 899만→1200만원 급증

등록 2022-10-10 13:48수정 2022-10-11 02:47

세금 885만원, 사회보험료 315만원
생산가능연령 기준 1인당 1689만원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민 1명이 지난해 납부한 세금은 평균 885만원, 사회보험료는 평균 31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상훈 의원(국민의힘)은 국회예산정책처에 의뢰해 추산한 ‘2017∼2021년 조세 및 국민 부담액 현황’을 10일 공개했다. 이를 보면, 지난해 총조세(국세·지방세)는 456조9천억원이었고, 총 사회보장기여금은 162조5천억원이었다.

둘을 합산한 총 국민부담액은 619조4천억원이다. 이를 지난해 총 인구로 단순 평균한 1인당 국민부담액은 1200만원이 된다. 이 가운데 조세부담액은 885만원이고 사회보장부담액은 315만원이다. 생산가능연령인 15∼64살 인구 3666만3천명으로 나눈 1인당 국민부담액 1689만원이고, 이 가운데 조세부담액은 1246만원, 사회보장부담액은 443만원이다.

1인당 국민부담액은 2017년 899만원에서 2021년 1199만원으로 늘었다. 15∼64살 생산가능연령 인구 1인당 국민부담액은 2017년 1237만원에서 2021년 1689만원으로 올랐다.

국민부담액 증가는 총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은 늘고, 인구는 줄어들기 때문이다. 총조세와 사회보장기여금은 2017년 465조5천억원에서 2021년 619조4천억원으로 늘었다. 반면에 총인구는 2017년 5177만9천명에서 2019년 5185만명으로 늘어난 뒤 2020년 5182만9천명, 2021년 5163만9천명으로 2년 연속 내리막길이었다. 생산가능인구는 2017년 3763만6천명에서 매해 조금씩 줄어 2021년 3666만3천명으로 집계됐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 비중인 조세부담률은 지난해 22.1%로 나타났다. 사회보장 기여금을 포함해 집계하는 국민부담률은 29.9%로 30%에 가까워졌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2.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4.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5.

“퇴근 뒤 농사지으러 갑니다”…도시에서 찾은 자급자족의 길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